ArXiv
IT 위키
arXiv(아카이브)는 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등 자연과학 및 일부 사회과학 분야의 학술 논문을 사전 공개하는 오픈 액세스 전자 저장소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arXiv는 1991년 물리학자 폴 기스파리(Paul Ginsparg)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미국 코넬 대학교 도서관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처음에는 이론물리학(preprint) 논문을 이메일을 통해 교환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이후 웹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로 확장되었다. arXiv는 심사 전 단계(preprint)의 논문을 공개해 연구자들 간 빠른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명칭[편집 | 원본 편집]
'arXiv'라는 이름은 'archive'(저장소)의 변형으로, 'X'는 그리스 문자 χ(카이)에서 따왔다. 발음은 원래 단어와 동일하게 '아카이브'로 읽으며, 과학적, 수학적 맥락에서 친숙한 기호를 활용한 명칭이다.
운영 구조[편집 | 원본 편집]
arXiv는 전통적인 학술지와 달리 동료 심사(peer-review)를 거치지 않는다. 대신, 업로드된 논문은 기본적인 주제 적절성과 형식 요건을 확인하기 위해 자동 필터링과 자원봉사 모더레이터의 사전 검토를 거친다. 검토 기준을 통과한 논문은 'preprint' 형식으로 공개되며, 이는 정식 출판을 위한 저널 투고와는 별개로 간주된다.
주요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누구나 무료로 논문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 학술지 출판 이전 단계의 논문을 빠르게 공유
- 연구자 개인이 직접 논문 업로드 가능
- 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
- 논문은 버전 관리가 가능하며 수정이력도 함께 제공
분야 분류[편집 | 원본 편집]
arXiv는 각 논문을 다음과 같은 주제 영역으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 수학(mathematics)
- 물리학(physics)
- 컴퓨터 과학(computer science)
- 통계학(statistics)
- 전산 생물학(quantitative biology)
- 전산 금융학(quantitative finance)
- 전자공학(electrical engineering and systems science)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Ginsparg, P. (2011). arXiv at 20. *Nature*, 476(7359), 145–147.
- Larivière, V., Sugimoto, C. R., Macaluso, B., Milojević, S., Cronin, B., & Thelwall, M. (2014). arXiv E-prints and the journal of record: An analysis of roles and relationship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6), 1157–1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