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S-P 인증 기준 2.10.2.클라우드 보안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5번째 줄: 25번째 줄: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역할 및 책임(예시)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역할 및 책임(예시)
**※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구성 및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34번째 줄: 35번째 줄:
|
|
* 물리적 영역의 시설 보안 및 접근통제
* 물리적 영역의 시설 보안 및 접근통제
*호스트 OS에 대한 보안 패치
* 호스트 OS에 대한 보안 패치
*하이퍼바이저 등 가상머신에 대한 보안 관리 등
* 하이퍼바이저 등 가상머신에 대한 보안 관리 등
|
|
*게스트 OS, 미들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 게스트 OS, 미들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게스트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사설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보안 구성 및 설정
* 게스트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사설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보안 구성 및 설정
*데이터 보안
* 데이터 보안
*관리자, 사용자 권한 관리 등
* 관리자, 사용자 권한 관리 등
|-
|-
|'''PaaS'''
|'''PaaS'''
46번째 줄: 47번째 줄:
* IaaS 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및 책임
* IaaS 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및 책임
* 네트워크 영역의 보안 설정
* 네트워크 영역의 보안 설정
*게스트 OS 및 미들웨어 영역에 대한 보안패치, 보안 구성 및 설정
* 게스트 OS 및 미들웨어 영역에 대한 보안패치, 보안 구성 및 설정
|
|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및 보안 설정
*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및 보안 설정
*데이터 보안
* 데이터 보안
*관리자, 사용자 권한관리 등
* 관리자, 사용자 권한관리 등
|-
|-
|'''SaaS'''
|'''SaaS'''
|
|
*IaaS, PaaS 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및 책임
* IaaS, PaaS 영역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및 책임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및 보안 설정
* 애플리케이션 보안 패치 및 보안 설정
*데이터 보안(데이터 레벨의 접근통제, 암호화 등) 등
* 데이터 보안(데이터 레벨의 접근통제, 암호화 등) 등
|
|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사용자 권한 관리 등
*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사용자 권한 관리 등
|}
|}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서비스 구성 및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클라우드 보안 위험 평가 및 정책 수립·이행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보안위험을 평가하여 비인가 접근, 설정오류 등을 방지할 수있도록 보안 구성 및 설정 기준, 보안설정 변경 및 승인 절차, 안전한 접속방법, 권한 체계 등 보안 통제정책을 수립·이행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보안 위험 평가 및 정책 수립·이행====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위험 평가: 서비스 품질 및 연속성, 법적 준거성, 보안성 측면 등 고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보안위험을 평가하여 비인가 접근, 설정오류 등을 방지할 수있도록 보안 구성 및 설정 기준, 보안설정 변경 및 승인 절차, 안전한 접속방법, 권한 체계 등 보안 통제 정책을 수립·이행하여야 한다.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위험 평가 : 서비스 품질 및 연속성, 법적 준거성, 보안성 측면 등 고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위험평가 결과를 반영한 보안통제 정책 수립·이행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위험평가 결과를 반영한 보안통제 정책 수립·이행


77번째 줄: 76번째 줄:
*보안 설정 등록·변경·삭제 절차(신청, 승인 등)
*보안 설정 등록·변경·삭제 절차(신청, 승인 등)
*보안 구성 및 설정에 대한 적절성 검토
*보안 구성 및 설정에 대한 적절성 검토
*클라우드 관리콘솔에 대한 접근통제 및 권한 관리 절차
*Access Key의 발급, 이용, 회수 등에 대한 관리 절차
*클라우드 서비스 원격접속 경로 및 방법(VPN, IP제한, 2 Factor 인증 등)
*클라우드 서비스 원격접속 경로 및 방법(VPN, IP제한, 2 Factor 인증 등)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관제 및 알람·모니터링 방안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관제 및 알람·모니터링 방안
84번째 줄: 81번째 줄:
</blockquote>
</blockquote>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최소화  및 통제====
====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역할 관리 및 통제 ====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은 역할에 따라 최소화하여 부여하고, 관리자 권한에 대한 비인가 접근, 권한 오·남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인증, 암호화, 접근통제, 감사기록 등 보호대책을 적용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은 역할에 따라 최소화하여 부여하고, 관리자 권한에 대한 비인가 접근, 권한 오·남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화된 인증, 암호화, 접근통제, 감사기록 등 보호대책을 적용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세분화 : 최고관리자, 가상네트워크 관리자, 보안관리자, DevOps 관리자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자 권한 세분화: 최고관리자, 네트워크 관리자, 보안관리자 등
*업무 및 역할에 따라 관리자 권한 최소화 부여
*업무 및 역할에 따라 관리자 권한 최소화 부여
*클라우드 관리자 권한 접속에 대한 강화된 인증 적용 : OTP, 보안키 등
*클라우드 관리자 권한 접속에 대한 강화된 인증 적용: OTP, 보안키 등
*원격 접속 구간에 대한 통신 암호화 또는 VPN 적용
*원격 접속 구간에 대한 통신 암호화 또는 VPN 적용
*클라우드 관리자 접속, 권한 설정에 대한 상세 로그 기록 및 모니터링 등
*클라우드 관리자 접속, 권한 설정에 대한 상세 로그 기록 및 모니터링 등


====클라우드 보안 설정 관리====
==== 클라우드 보안 설정 관리 ====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설정 변경, 운영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그 적절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설정 변경, 운영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그 적절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125번째 줄: 122번째 줄:
==참고 문헌==
==참고 문헌==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안내서(KISA, 2023.11.)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 안내서(KISA, 2022.4.)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