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도

IT위키

Validity 해당 데이터가 가리키는 대상이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했던 것과 일치하는 정도

  • 측정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

종류[편집 | 원본 편집]

액면 타당도(Face validity)[편집 | 원본 편집]

aka. 표면 타당도, 안면 타당도

  • 검사문항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읽고 그 검사가 얼마나 타당해 보이는지를 평가하는 낮은 수준의 타당도
  • 내용 타당도와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함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편집 | 원본 편집]

  •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문항들이 실제 측정하고자하는 개념의 전영역에 골고루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에 관한 정도
  •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측정
  • 예) 지능검사에서 일반적인 학습능력, 원리를 이해 능력, 추리판단 능력 등이 포함되었는지 전문가들이 평가

준거 타당도(Criterion validity)[편집 | 원본 편집]

aka. 기준 타당도, Criterion-Related Validity

  • 어떤 검사가 특정 준거와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가를 평가하는 척도
  • 예측 타당도와 동시 타당도로 구분

예측 타당도[편집 | 원본 편집]

해당검사가 그에 목적하는 준거를 얼마나 정확하게 예언하고 있는지를 의미

  • 예시)
    • 고교생들의 술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후 몇 년 뒤 술에 대한 긍정적인 학생이 알콜에 관한 문제를 일으켰다면 예측 타당도가 있다고 본다.
    • 입학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입학후에도 우수한 성적이 유지된다면 입학시험은 예측 타당도가 있다고 본다.

동시 타당도[편집 | 원본 편집]

검사 점수와 준거 점수가 동시에 나온 상관 계수로, 검사점수가 기준변인(준거점수)을 대신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

  • 예시)
    • 성격검사의 점수가 면접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면 공인타당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 공인시험인 토플 점수가 높고 텝스점수도 높다면 공인타당도가 높다.

공통점과 차이점[편집 | 원본 편집]

  • 공통점: 검사 점수와 준거점수(기준변인)간의 경험적인 관계를 다룸
    • 즉, 측정한 점수가 측정하고자 하는 점수 간의 경험적인 관계를 다룸
  • 차이점: 예측 타당도는 어떤 기준변인을 예측하는 반면,
    • 동시 타당도는 그 기준변인 대신에 그 검사를 사용가능한가를 다룸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편집 | 원본 편집]

  •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 전반적인 이론적 틀 속에서 논리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적절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경험적으로 검증
  • 예) 논문을 작성할 때 가설->검증->결과 에서 이 가설이 제대로 검증 되었느냐는 구인타당도와 관련

영향을 주는 요인[편집 | 원본 편집]

  • 표집의 특성 : 집단의 크기, 집단의 대표성
  • 검사의 신뢰도
  • 집단의 이질성
  • 피험자의 반등특성

신뢰도와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신뢰도와 타당도.png

  • 타당도가 높은 검사는 항상 신뢰도도 높음
  • 신뢰도가 낮은 검사는 항상 타당도도 낮음
  • 신뢰도가 높다고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님
  • 타당도가 낮다고해서 반드시 신뢰도가 낮은 것은 아님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