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 편집하기

IT위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TCP 179번 포트를 이용한다.
TCP 179번 포트를 이용한다.


===라우팅 프로토콜 분류===
==라우팅 프로토콜 분류==


*Distance Vector 방식 : RIP, RIPv2, IGRP
*Distance Vector 방식 : RIP, RIPv2, IGRP
19번째 줄: 19번째 줄:


하나의 AS내에서의 라우팅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하나의 AS내에서의 라우팅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RIP]]===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outer Interchange Protocol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홉(Hop)을 기준으로 하고 최대 15홉까지 지원하므로 큰 망에선 사용할 수 없다.
*홉(Hop)을 기준으로 하고 최대 15홉까지 지원하므로 큰 망에선 사용할 수 없다.
*30초마다 모든 라우터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30초마다 모든 라우터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34번째 줄: 35번째 줄:
**회선의 상태를 무시한 홉 수 계산 방식이므로 비효율적인 라우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선의 상태를 무시한 홉 수 계산 방식이므로 비효율적인 라우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OSPF]]===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Open Shortest Path First


51번째 줄: 52번째 줄:
*[[거리 벡터 라우팅|거리 벡터 방식]]과 링크 상태 방식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진 하이브리드형 IGP
*[[거리 벡터 라우팅|거리 벡터 방식]]과 링크 상태 방식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진 하이브리드형 IGP
*[[시스코]]에서 독자 개발
*[[시스코]]에서 독자 개발
*DUAL 알고리즘 사용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기 위해 대역폭, 지연, 신뢰성, MTU 5가지 지표 사용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기 위해 대역폭, 지연, 신뢰성, MTU 5가지 지표 사용


60번째 줄: 60번째 줄:
AS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AS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EGP]]===
===EGP===


*라우팅의 분류명이기도 하지만 실제 EGP라는 프로토콜도 있었다.
*라우팅의 분류명이기도 하지만 실제 EGP라는 프로토콜도 있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BGP]]===
===BGP===


*EGP보다 한층 업그레이드 된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EGP보다 한층 업그레이드 된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초기 연결시에 전체 경로 테이블을 교환하고, 이후엔 변동 내역이 있을 때만 변동 내역을 교환한다.
*초기 연결시에 전체 경로 테이블을 교환하고, 이후엔 변동 내역이 있을 때만 변동 내역을 교환한다.
== 거리 벡터 라우팅과 링크 상태 라우팅 ==
{| class="wikitable"
!구분
!거리 벡터 라우팅
!링크 상태 라우팅
|-
|주요 매트릭
|Hop Count
|Symbolic Length
|-
|경로 설정
|라우터 간 거리를 더하여 계산
|다른 라우터까지 Shortest Path 계산
|-
|경로 알고리즘
|벨만-포드(Bellman-Ford)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
|-
|업데이트 범위
|인접 라우터
|Area내 모든 라우터
|-
|업데이트 시점
|일정주기
|Link 변화 발생시
|-
|라우팅 테이블
|이웃 라우팅 정보
|네트워크 전체
|-
|대표 프로토콜
|RIP, IGRP
|OSPF, EIGRP
|-
|컨버전스 타임
|느림, 주기적인 정보 교환
|빠름, 변경 발생시 정보 교환
|}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정적(Static) 라우팅 프로토콜'''
*정적(Static) 라우팅 프로토콜
**수작업으로 라우팅 정보를 입력한다,
**수작업으로 라우팅 정보를 입력한다,
**장점 : 동적 라우팅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고 라우터의 부하가 작다.
**장점 : 동적 라우팅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고 라우터의 부하가 작다.
**단점 : 라우팅 갱신이 수작업으로 입력하여 작업 부담이 크고 최신화가 보장되지 않는다.
**단점 : 라우팅 갱신이 수작업으로 입력하여 작업 부담이 크고 최신화가 보장되지 않는다.
*'''동적(Dynamic) 라우팅 프로토콜'''
*동적(Dynamic)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라우팅 정보를 갱신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라우팅 정보를 갱신한다.
**장점 : 작업 부담이 없고, 항상 최신 라우팅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장점 : 작업 부담이 없고, 항상 최신 라우팅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단점 : 라우터의 부하가 크다.
**단점 : 라우터의 부하가 크다.
IT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