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구조 네트워크
IT 위키
기반구조 네트워크(infrastructure network)는 고정된 중앙 장치(예: AP, 라우터, 스위치 등)를 중심으로 구성된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구조이다. 모든 노드는 중앙 장치를 통해 통신하며, 네트워크의 제어, 라우팅, 보안, 연결 등의 기능도 중앙 장치에서 수행된다.
-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형태를 이야기하며, 주로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은 분산형 네트워크와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많이 사용된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각 단말(노드)은 직접 통신하지 않고, 중앙 인프라를 통해 간접 통신함
- 유선 또는 무선 모두 가능하며,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구조에 해당
- 애드혹 네트워크와 대비되는 개념
2 구조[편집 | 원본 편집]
- 액세스 포인트(AP): 무선 클라이언트를 수용하는 중심 장치
- 스위치, 허브: 유선 노드 간 데이터 전달
- 라우터: 네트워크 간 경로 설정 및 인터넷 연결
3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중앙 집중형 제어 및 관리 → 효율적 운영 가능
- 신뢰성 및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 확장성이 뛰어나고, QoS 적용이 용이함
- 단점: 중앙 장치 고장 시 전체 네트워크 불안정
4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Wi-Fi 공유기를 통한 무선 네트워크
- 회사나 가정의 LAN(Local Area Network)
- 학교, 기업의 인터넷 기반 네트워크
5 기반 구조 네트워크 vs 애드혹 네트워크[편집 | 원본 편집]
구분 | 기반 구조 네트워크 | 애드혹 네트워크 |
---|---|---|
연결 방식 | 중앙 장치(AP 등) 통해 연결 | 노드 간 직접 연결 |
구조 | 고정된 인프라 기반 | 인프라 없음 (자율 구성) |
제어 방식 | 중앙 집중식 | 분산식 |
예시 | Wi-Fi 공유기, 유선 LAN | MANET, 재난 구조 네트워크 |
6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 설정이 용이
- 트래픽 흐름 및 자원 할당 최적화 가능
- 고속 연결과 높은 신뢰성 제공
7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인프라 설치 비용이 발생
- 유연성이 낮고, 중앙 장치 장애 시 서비스 중단 위험
8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9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Tanenbaum, A. S., & Wetherall, D. J. (2011). Computer Networks. Pearson
- Stallings, W. (2013). Data and Computer Communications. Pearson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무선 네트워크 보안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