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DR
IT 위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비클래스 도메인 간 라우팅)은 IP 주소를 더 유연하게 할당하고 라우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기법 및 라우팅 방식이다. 기존의 클래스 기반 주소 할당(Class A, B, C 등)을 대체하기 위해 1993년 도입되었다.
1 개요[편집 | 원본 편집]
CIDR은 IP 주소 뒤에 슬래시(/)와 함께 숫자를 붙여 네트워크 접두사(prefix)의 길이를 표시한다. 이 숫자는 네트워크 부분의 비트 수를 의미하며, 나머지는 호스트 주소 영역이다.
- 예: 192.168.10.0/24
- 앞의 24비트는 네트워크 주소, 나머지 8비트는 호스트 주소
2 목적[편집 | 원본 편집]
- IP 주소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할당을 유연하게 함
- 인터넷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여 라우팅 효율을 향상
- 서브넷팅 및 슈퍼넷팅(subnetting/supernetting)을 가능하게 함
3 표기법[편집 | 원본 편집]
CIDR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IP 주소>/<접두사 길이>
- 예: 10.0.0.0/8, 172.16.0.0/12, 192.168.1.0/24
- 접두사 길이가 짧을수록 더 많은 IP 주소를 포함
4 주소 범위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8
- 가능한 호스트 수: 16,777,216
- 서브넷 마스크: 255.0.0.0
- /16
- 가능한 호스트 수: 65,536
-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 /24
- 가능한 호스트 수: 256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30
- 가능한 호스트 수: 4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252
-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일반적으로 2ⁿ − 2
-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함
5 서브넷 예시[편집 | 원본 편집]
192.168.1.0/24 네트워크를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려면:
- 서브넷당 64개의 주소 필요 → 2⁶ = 64 → 추가 2비트 사용
- 새로운 접두사 길이: /26
결과 서브넷:
- 192.168.1.0/26
- 192.168.1.64/26
- 192.168.1.128/26
- 192.168.1.192/26
6 CIDR과 라우팅[편집 | 원본 편집]
CIDR은 라우트 집계(route aggregation) 또는 수퍼넷팅(supernetting)을 가능하게 한다.
- 예: 다음 세 개의 네트워크
- 192.168.0.0/24
- 192.168.1.0/24
- 192.168.2.0/24
- → 하나의 경로 192.168.0.0/22로 묶을 수 있음
- 총 1024개의 주소 포함
7 IPv6에서의 CIDR[편집 | 원본 편집]
IPv6에서도 동일한 CIDR 표기법을 사용한다.
- 예: 2001:db8::/32
- 앞 32비트가 네트워크 주소
8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9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RFC 4632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The Internet Address Assignment and Aggregation Plan
- Tanenbaum, A. S., & Wetherall, D. J. (2011). Computer Networks.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