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대형 언어 모델 효율화
편집하기 (부분)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양자화 (Quantization)== 모델의 가중치(weight)와 활성값(activation)을 부동소수(FP32) 대신 정수(INT8, INT4 등)로 표현하여 메모리와 연산량을 줄이는 기술이다. [[신경망 양자화]]에 관한 일반적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방식''' *정적 양자화 (Static Quantization) **사전 수집된 데이터셋으로 scale과 zero-point를 미리 계산. *동적 양자화 (Dynamic Quantization) **실행 시점에 활성값을 실시간으로 양자화. *후처리 양자화 (Post-training Quantization, PTQ) **학습된 모델에 재학습 없이 양자화를 적용. *양자화 인식 학습 (Quantization-Aware Training, QAT) **학습 단계에서 양자화 효과를 모의(simulation)하여 정확도 손실을 최소화. '''세분화 수준 (Granularity)''' *Tensor-based quantization *Vector-based quantization *Group-based quantization '''Outlier 관리''' LLM은 모델 특성상 다른 DNN에 비해 [[이상치]]가 두드러지므로 이에 대한 별도 처리를 하지 않으면 같은 [[신경망 양자화 기법]]을 적용했을 때 특히 손실이 크다. 따라서 LLM용 Outlier 관리 기법이 별도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Massive Activation *Channel-wise Outlier *Clip Activation / Clip Weight '''LLM 특화 양자화 기법''' *[[SmoothQuant|'''SmoothQuant''' (ICML 2023)]] **활성값의 outlier 문제를 가중치 쪽으로 이전(migrate)하여 양자화 오차를 줄임. **수식: Y = (X·diag(s)^(-1))·(diag(s)·W) **α 하이퍼파라미터로 activation–weight 균형 제어. *[[QuaRot]] *'''GPTQ''' (Quantization by Gradient Descent) **학습 후 Hessian 근사 기반 최적화 양자화. *'''AWQ''' (Activation-aware Weight Quantization) **Calibration 단계에서 outlier-aware scaling 적용. *'''ZeroQuant''' (Microsoft, 2022) **End-to-end 자동 양자화 파이프라인.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