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몽고메리-애스버그 우울 척도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몽고메리-애스버그 우울 척도(Montgomery–Å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MADRS)는 주요우울장애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임상 평가 도구이다. ==개요== MADRS는 1979년 스웨덴의 정신의학자 스튜어트 A. 몽고메리(Stuart A. Montgomery)와 마리오 애스버그(Mario Åsberg)가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우울증의 핵심 증상에 집중함으로써 치료 효과의 변화를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항우울제의 임상시험에서 널리 활용된다. 평가 항목은 관찰과 면담을 통해 평가자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구성== MADRS는 총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0점(증상 없음)에서 6점(증상이 매우 심함)까지 평가된다. 총점은 0점에서 60점 사이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증상의 중증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 항목== 다음은 MADRS의 10개 항목이다: *우울감 *불안/긴장 *수면장애 *식욕 감소 *집중력 저하 *무기력감 *비관주의 *감정 둔마 *내재적 긴장 *자살사고 ==해석== 총점에 따른 일반적인 중증도 기준은 다음과 같다: *0~6점: 정상 또는 우울 증상 없음 *7~19점: 경도 우울 *20~34점: 중등도 우울 *35점 이상: 중증 우울 ==사용== MADRS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된다: *항우울제 치료의 효과 모니터링 *임상시험에서 치료 반응 비교 *정신건강 평가에서 표준화된 도구로 사용 ==장단점== *장점: **비교적 짧은 시간 내 평가 가능 **항우울제 반응을 민감하게 측정 **임상시험에서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됨 *단점: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점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일부 비정형 우울 증상은 평가에 포함되지 않음 ==같이 보기== *[[우울장애]] *[[Hamilton 우울 척도]] *[[DSM-5]] *[[정신건강검사]] *[[자살 위험 평가]] ==참고 문헌== *Montgomery, S. A., & Åsberg, M. (1979). A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4(4), 382–389. *Rush, A. J., Gullion, C. M., Basco, M. R., Jarrett, R. B., & Trivedi, M. H. (1996). The 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IDS): Psychometric properties. *Psychological Medicine*, 26(3), 477–486. ==각주== [[분류:심리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