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Trade-Weighted U.S. Dollar Index)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미국과 교역량이 많은 여러 국가의 통화에 대해 가중 평균하여 측정한 지표'''이다. [[달러 인덱스]](DXY)가 6개 주요 통화에만 기반하는 반면, 이 지수는 실제 무역 비중을 반영하므로 '''보다 현실적인 달러의 강도'''를 보여준다. ==개념== *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발표하는 공식 지표 *미국과의 무역량이 많은 국가들(20개 이상)의 통화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달러의 상대 가치를 측정 *'''명목지수(Nominal TWI)'''와 '''실질지수(Real TWI)'''로 나뉨 ==특징== *각 통화의 가중치는 미국의 상품 수입·수출 비중을 기반으로 매년 재조정됨 *교역 비중이 높은 중국 위안화(CNY), 멕시코 페소(MXN), 한국 원(KRW) 등도 포함됨 *수출입 대상국의 변화와 경제 관계에 따라 통화 구성과 비중이 유연하게 변동함 ==명목 vs 실질== *'''명목 무역 가중 지수(Nominal TWI)''': 환율만을 기준으로 산출 *'''실질 무역 가중 지수(Real TWI)''': 물가 수준(소비자물가지수 등)을 반영해 구매력 기준으로 조정된 지수 ==구성 예시== 2020년 기준(변동 가능): *유로 (EUR) *캐나다 달러 (CAD) *일본 엔 (JPY) *멕시코 페소 (MXN) *중국 위안 (CNY) *한국 원 (KRW) *대만 달러 (TWD) *브라질 헤알 (BRL) 등 ==비교: DXY vs 무역가중 지수== {| class="wikitable" !항목!!DXY (달러 인덱스)!!무역가중 달러 인덱스 |- |발표 기관||ICE||미국 연준 (Fed) |- |통화 수||6개||20개 이상 |- |반영 방식||고정된 가중치||매년 무역 비중으로 조정 |- |대표성||선진국 중심||선진국 + 신흥국 포함 |- |실질 지수 포함 여부||없음||있음 (Real TWI) |} ==활용== *미국 달러의 '''실질 구매력 변화'''를 측정할 때 사용 *[[통화정책]], [[경쟁력 분석]], [[환율 정책]] 수립에 참고 *[[달러 인덱스]]의 한계를 보완하는 대안 지표 ==같이 보기== *[[달러 인덱스]] *[[환율]] *[[외환시장]] *[[미국 연준]] *[[실질 실효환율]] ==참고 문헌==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 https://www.federalreserve.gov/releases/h10/summary/ *FRED – Trade Weighted U.S. Dollar Index (Broad, Goods) *Krugman, P., & Obstfeld, M. (2018). International Economics: Theory and Policy [[분류:경제학]]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