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

IT 위키

무역 가중 달러 인덱스(Trade-Weighted U.S. Dollar Index)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미국과 교역량이 많은 여러 국가의 통화에 대해 가중 평균하여 측정한 지표이다. 달러 인덱스(DXY)가 6개 주요 통화에만 기반하는 반면, 이 지수는 실제 무역 비중을 반영하므로 보다 현실적인 달러의 강도를 보여준다.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발표하는 공식 지표
  • 미국과의 무역량이 많은 국가들(20개 이상)의 통화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달러의 상대 가치를 측정
  • 명목지수(Nominal TWI)실질지수(Real TWI)로 나뉨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각 통화의 가중치는 미국의 상품 수입·수출 비중을 기반으로 매년 재조정됨
  • 교역 비중이 높은 중국 위안화(CNY), 멕시코 페소(MXN), 한국 원(KRW) 등도 포함됨
  • 수출입 대상국의 변화와 경제 관계에 따라 통화 구성과 비중이 유연하게 변동함

명목 vs 실질[편집 | 원본 편집]

  • 명목 무역 가중 지수(Nominal TWI): 환율만을 기준으로 산출
  • 실질 무역 가중 지수(Real TWI): 물가 수준(소비자물가지수 등)을 반영해 구매력 기준으로 조정된 지수

구성 예시[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기준(변동 가능):

  • 유로 (EUR)
  • 캐나다 달러 (CAD)
  • 일본 엔 (JPY)
  • 멕시코 페소 (MXN)
  • 중국 위안 (CNY)
  • 한국 원 (KRW)
  • 대만 달러 (TWD)
  • 브라질 헤알 (BRL) 등

비교: DXY vs 무역가중 지수[편집 | 원본 편집]

항목 DXY (달러 인덱스) 무역가중 달러 인덱스
발표 기관 ICE 미국 연준 (Fed)
통화 수 6개 20개 이상
반영 방식 고정된 가중치 매년 무역 비중으로 조정
대표성 선진국 중심 선진국 + 신흥국 포함
실질 지수 포함 여부 없음 있음 (Real TWI)

활용[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