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벡터 공간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벡터 공간(英: vector space, 線性空間)은 스칼라(임의의 체의 원소)와의 스칼라 곱 및 벡터 사이의 덧셈 연산이 정의되어 있고, 이 연산들이 일련의 공리들을 만족하는 집합이다. ==정의== 벡터 공간 V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구조 (V, +, ·)이다: *한 체 F가 주어져 있고, 스칼라는 이 체의 원소들이다. * 덧셈 연산 +: V × V → V 와 스칼라 배 연산 ·: F × V → V 가 정의되어 있다. *이 연산들은 다음 공리들을 만족해야 한다: **교환법칙: u + v = v + u **결합법칙: (u + v) + w = u + (v + w) **덧셈의 항등원: 존재하는 0 ∈ V가 있어 0 + v = v **덧셈의 역원: 모든 v ∈ V에 대해 -v ∈ V가 존재하여 v + (-v) = 0 **결합성: a(bv) = (ab)v **항등 스칼라 작용: 1 · v = v (1은 체 F의 곱셈 항등원) **분배법칙 (벡터 쪽): a(u + v) = au + av **분배법칙 (스칼라 쪽): (a + b)v = av + bv ==주요 개념== ===부분공간 (Subspace)=== 벡터 공간 V의 부분집합 W ⊆ V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W 또한 벡터 공간이며, 이를 V의 부분공간이라 한다: *영벡터 0 ∈ W *덧셈에 대해 닫힘: u, v ∈ W이면 u + v ∈ W *스칼라 배에 대해 닫힘: a ∈ F, v ∈ W이면 av ∈ W ===선형 결합, 스팬, 생성, 독립성=== *주어진 벡터들 v₁, v₂, ..., vₖ ∈ V의 선형 결합은 a₁v₁ + a₂v₂ + ... + aₖvₖ 의 형태이다 (aᵢ ∈ F). *이 선형 결합들의 집합을 스팬(span) 또는 생성 공간이라 하며, 기호로는 span{v₁, ..., vₖ}로 쓴다. * 벡터들이 선형 독립(linearly independent)하다는 것은 a₁v₁ + ... + aₖvₖ = 0 이 성립할 때 계수 a₁, ..., aₖ가 모두 0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어떤 벡터들이 벡터 공간 V 전체를 생성하면서 동시에 선형 독립이면, 그 집합을 기저(basis)라고 한다. === 차원 (Dimension) === * 벡터 공간 V의 기저를 구성하는 벡터들의 수를 V의 차원이라 한다. *모든 기저의 크기는 동일하며, 유한일 수도 무한일 수도 있다. ===열공간과 행공간=== *행렬이 주어졌을 때, 그 열 또는 행 벡터들이 생성하는 공간도 벡터 공간이다. *열공간(column space)은 행렬의 열벡터들이 생성하는 부분공간이며 ℝᵐ 안에 존재한다 (m은 행 수). * 행공간(row space)은 행렬의 행벡터들이 생성하는 부분공간이며 ℝⁿ 안에 존재한다 (n은 열 수). *행렬의 열공간과 행공간은 모두 벡터 공간의 공리를 만족하며, 그 차원은 열 또는 행 벡터들의 선형 독립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 *유클리드 공간 ℝⁿ은 실수 체 ℝ 위의 대표적인 벡터 공간이다. *다항식들의 집합 (예: 최고차항이 n 이하인 다항식 전체) *고정된 크기의 행렬들의 집합 *함수 공간 (예: 연속 함수, 미분 가능한 함수 등) *영벡터만을 포함하는 공간, 즉 {0}도 벡터 공간이다 (자명 공간) '''행렬 예시와 차원 분석''' 다음 행렬들의 열공간과 행공간 차원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행렬!!열공간 차원!!행공간 차원 |- |\(\begin{bmatrix} 1 & 3 \\ 2 & 1 \end{bmatrix}\)||2||2 |- |\(\begin{bmatrix} 1 & 0 \\ 0 & 1 \end{bmatrix}\)||2||2 |- |\(\begin{bmatrix} 1 & 2 \\ 2 & 4 \end{bmatrix}\)||1||1 |- |\(\begin{bmatrix} 3 & 2 \\ 1 & 4 \\ 2 & 1 \end{bmatrix}\)||2||2 |- |\(\begin{bmatrix} 3 & 2 & 4 \\ 1 & 4 & -2 \\ 2 & 1 & 3 \end{bmatrix}\)||2||2 |} *\(\begin{bmatrix}1 & 2 \\ 2 & 4\end{bmatrix}\)는 두 번째 열이 첫 번째 열의 정확한 2배이므로 선형 종속이며, 열공간 차원은 1이다. 행벡터도 같은 관계를 가지므로 행공간도 1차원이다. *\(\begin{bmatrix}3 & 2 & 4 \\ 1 & 4 & -2 \\ 2 & 1 & 3\end{bmatrix}\)의 열벡터들은 col₂ = 2 × col₁ − col₃의 관계를 가지므로 선형 종속이며, 열공간 차원은 2이다. 행벡터들 또한 r₃ = 0.7 × r₁ − 0.1 × r₂로 표현될 수 있어 선형 종속이고, 행공간 차원도 2이다. *이러한 차원은 가우스 소거법이나 선형 결합 관계를 통해 판별할 수 있으며, 선형 독립한 벡터의 수가 기저의 개수이자 공간의 차원이 된다. ==성질 및 정리== *벡터 공간 사이의 선형 변환은 덧셈과 스칼라 배 연산을 보존하는 함수이다. *선형 변환의 핵(kernel)과 상(image)에 대한 차원 정리가 존재한다. *벡터 공간 V와 그 부분공간 U가 있을 때 몫공간 V/U도 벡터 공간이다. *같은 차원을 갖는 두 벡터 공간은 동형(isomorphic)이다. ==응용== *벡터 공간은 선형대수학의 핵심 개념이며, 물리학, 공학, 통계학,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에서 주성분 분석(PCA), 신호 처리, 선형 회귀, 컴퓨터 그래픽스 등의 기초 이론이 벡터 공간 구조 위에서 정의된다. ==같이 보기== *[[선형 변환]] *[[기저와 차원]] *[[내적 공간]] *[[노름 공간]] *[[벡터]] ==각주== [[분류:수학]] [[분류:선형대수]]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