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IT 위키
검색
P-차트
편집하기
IT 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P-차트(P-chart, 비율 관리도)는 통계적 공정 관리(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에서 사용되는 관리도 중 하나로, 공정 내에서 불량률이나 결함 비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관리도는 샘플 내의 이항 분포를 따르는 불량품 수를 기반으로 하며, 주로 '''합격/불합격''', '''있음/없음'''과 같은 이진 판단이 필요한 품질 특성에 적용된다. * 또는 서비스업의 경우 전체 고객 수 대비 불만 접수 건수 등으로 차트를 그려서 활용할 수도 있다. ==개요== P-차트는 각 샘플의 불량 비율을 점으로 표시하고, 전체 불량 평균을 중심선(Center Line, CL)으로, 상한선(UCL)과 하한선(LCL)을 기준으로 공정이 통계적으로 관리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샘플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NP-차트와 차별화된다. [[파일:P-차트 (품질 관리) 예시.png]] ==구성 요소== *CL (중심선) **전체 샘플에서의 평균 불량률 <p̄> **CL = p̄ *UCL (상한선) **UCL = p̄ + z * sqrt(p̄(1 - p̄) / n) *LCL (하한선) **LCL = p̄ - z * sqrt(p̄(1 - p̄) / n) **단, LCL이 0보다 작으면 0으로 간주 여기서 n은 각 샘플의 크기, z는 신뢰수준에 따른 상수(일반적으로 3을 사용)이다. ==사용 조건== *검사 결과가 이항 분포(불량/양품)로 표현 가능한 경우 *샘플 크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변할 수 있음 *공정 내 불량률을 추적하려는 경우 ==예시== 20개의 샘플을 검사하여 불량품 수를 기록한 후, 각 샘플의 크기에 따라 불량 비율을 계산하고 P-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예:''' * 샘플 1의 크기: 100개, 불량 5개 → 비율 = 0.05 * 샘플 2의 크기: 150개, 불량 9개 → 비율 = 0.06 ... * 전체 평균 불량률 p̄ = (총 불량 수) / (총 검사 수) 각 샘플마다 비율을 점으로 표시하고, 관리 한계선을 함께 그려 공정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장점== *샘플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도 적용 가능 *시각적으로 공정 안정성 판단이 쉬움 *이진 품질 특성에 대해 유용하게 사용됨 ==단점== *불량률이 매우 작을 경우 LCL이 음수가 되어 해석이 어려울 수 있음 *샘플 크기가 너무 작으면 관리도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 ==같이 보기== *[[통계적 공정 관리]] *[[관리도]] *[[NP-차트]] *[[X-bar 차트]] *[[불량률]] ==참고 문헌== *Montgomery, D. C. (2012). Introduction to Statistical Quality Control. Wiley. *이재원. (2019). 품질경영론. 형설출판사. [[분류:경영학]] [[분류:품질 관리]]
요약:
IT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IT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광고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