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UM: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 일일 스크럼 회의와 30일 단위의 스프린트를 이용하여 유연한 개발을 추구하는 [[애자일 방법론]]
 
;일일 스크럼 회의와 30일 단위의 스프린트를 이용하여 유연한 개발을 추구하는 [[애자일 방법론]]
 
== 개요 ==
스크럼은 애자일을 구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주로 목표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요구사항이 디테일까지 확립되지 않은)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납기가 철저하게 정해져 있거나 기간에 따라 대가가 지불되는 형태의 프로젝트엔 적절치 않다. 즉 외주 업체가 특정 시스템을 개발하러 들어와서 사용하는 방법론이라기 보다는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는 형태의 IT기업의 내부 방법론으로써 활용성이 높다.


[[파일:Scrum Process.png]]
[[파일:Scrum Process.png]]
== 특징 ==
==특징==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특징 !! 내용
!특징!!내용
|-
|-
| 프로젝트 관리 || 팀 운영 및 프로젝트 관리 중심
|'''프로젝트 관리'''||팀 운영 및 프로젝트 관리 중심
|-
|-
| 개발론 부재 || 개발 방법론 부재로, 실무적으로 다른 방법론과 함께 사용
|'''개발론 부재'''||개발 방법론 부재로, 실무적으로 다른 방법론과 함께 사용
|-
|-
| 수평적 협업 || 수평적 관계 및 팀원간 협업 중시
|'''수평적 협업'''||수평적 관계 및 팀원간 협업 중시
|}
|}


== 구성 ==
==구성==
역할
역할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역할 !! 설명
!역할!!설명
|-
|-
| Product Owner || 제품 백로그 우선순위 결정
|[[프로덕트 오너|'''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
|제품 기획, 요구사항 정의, 제품 백로그 우선순위 결정
|-
|-
| Scrum Master || 팀 의사결정, 팀을 위한 자원 획득, 팀원 독려
|[[스크럼 마스터|'''스크럼 마스터''']]
(Scrum Master)
|팀 의사결정, 팀을 위한 자원 획득, 팀원 독려
|-
|-
| Development Team || 5~9명의 개발자, 스프린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 보유자
|'''개발 팀원'''
(Development Team)
|5~9명의 개발자, 스프린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 보유자
|}
|}


== 프로세스 ==
==프로세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구분
!구분
! 구성
!구성
! 설명
!설명
|-
|-
| rowspan="3" | 기획
| rowspan="3" |'''기획'''
| Release Planning
|Release Planning
|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 기획 및 요구사항 파악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 기획 및 요구사항 파악
|-
|-
| Backlog Refinement Meeting
|Backlog Refinement Meeting
| 요구사항을 정제하고 백로그 구성
|요구사항을 정제하고 백로그 구성
|-
|-
| Sprint Planning
|Sprint Planning
| 1~4주 단위의 업무(스플린트) 계획 수립
|1~4주 단위의 업무(스플린트) 계획 수립
|-
|-
| rowspan="3" | 관리
| rowspan="3" |'''관리'''
| Daily Scrum
|Daily Scrum
| 현황파악을 위해 매일 15분 내외의 짧은 회의
|현황파악을 위해 매일 15분 내외의 짧은 회의
|-
|-
| Sprint Review
|Sprint Review
| 스프린트 완료 시 고객 검토, 피드백
|스프린트 완료 시 고객 검토, 피드백
|-
|-
| Sprint Retrospective
|Sprint Retrospective
| 스프린트 결과에 따른 개선방향 검토
|스프린트 결과에 따른 개선방향 검토
|-
|-
| rowspan="3" | 도구
| rowspan="3" |'''도구'''
| Product Backlog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
| 제품의 기능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
|제품의 기능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
개발 과정에서 끊임 없이 변경됨
개발 과정에서 끊임 없이 변경됨
|-
|-
| Sprint Backlog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
| 기능, 우선순위에 따른 스플린트 목록
|기능, 우선순위에 따른 스플린트 목록
|-
|-
|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
| 개발 진행 상황을 기록
|개발 진행 상황을 기록
|}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애자일 방법론]]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애자일 방법론]]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칸반]]

2025년 9월 17일 (수) 06:37 기준 최신판


일일 스크럼 회의와 30일 단위의 스프린트를 이용하여 유연한 개발을 추구하는 애자일 방법론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스크럼은 애자일을 구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주로 목표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요구사항이 디테일까지 확립되지 않은)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납기가 철저하게 정해져 있거나 기간에 따라 대가가 지불되는 형태의 프로젝트엔 적절치 않다. 즉 외주 업체가 특정 시스템을 개발하러 들어와서 사용하는 방법론이라기 보다는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하는 형태의 IT기업의 내부 방법론으로써 활용성이 높다.

Scrum Process.png

특징[편집 | 원본 편집]

특징 내용
프로젝트 관리 팀 운영 및 프로젝트 관리 중심
개발론 부재 개발 방법론 부재로, 실무적으로 다른 방법론과 함께 사용
수평적 협업 수평적 관계 및 팀원간 협업 중시

구성[편집 | 원본 편집]

역할

역할 설명
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

제품 기획, 요구사항 정의, 제품 백로그 우선순위 결정
스크럼 마스터

(Scrum Master)

팀 의사결정, 팀을 위한 자원 획득, 팀원 독려
개발 팀원

(Development Team)

5~9명의 개발자, 스프린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 보유자

프로세스[편집 | 원본 편집]

구분 구성 설명
기획 Release Planning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 기획 및 요구사항 파악
Backlog Refinement Meeting 요구사항을 정제하고 백로그 구성
Sprint Planning 1~4주 단위의 업무(스플린트) 계획 수립
관리 Daily Scrum 현황파악을 위해 매일 15분 내외의 짧은 회의
Sprint Review 스프린트 완료 시 고객 검토, 피드백
Sprint Retrospective 스프린트 결과에 따른 개선방향 검토
도구 Product Backlog 제품의 기능을 우선순위에 따라 나열

개발 과정에서 끊임 없이 변경됨

Sprint Backlog 기능, 우선순위에 따른 스플린트 목록
Burndown Chart 개발 진행 상황을 기록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