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ler의 사용자 기여
IT 위키
2025년 10월 22일 (수)
- 05:482025년 10월 22일 (수) 05:48 차이 역사 +6,322 새글 Saga 패턴 새 문서: 사가 패턴(영어: Saga Patter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나 분산 시스템에서 여러 서비스에 걸친 다단계 트랜잭션을 관리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 패턴이다. ==정의== 사가 패턴은 하나의 큰 트랜잭션을 여러 개의 로컬 트랜잭션으로 나누고, 각 로컬 트랜잭션이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 뒤 다음 단계를 트리거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5:302025년 10월 22일 (수) 05:30 차이 역사 +3,246 새글 스프린트 리뷰 새 문서: 스프린트 리뷰란 스프린트(반복작업) 종료 시점에 Scrum 팀이 완료한 작업을 이해관계자에게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 다음 작업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회의이다. ==정의== * 스프린트 리뷰는 스프린트 동안 팀이 달성한 산출물(인크리먼트)을 검토하고 향후 적응할 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 회의이다. * 회의 참가자는 스크럼 팀과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 스크럼...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5:272025년 10월 22일 (수) 05:27 차이 역사 +3,436 새글 스프린트 계획 새 문서: 스프린트 계획(영어: Sprint Planning)은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새 스프린트를 시작하기 전에 팀이 다가오는 스프린트 동안 무엇을 할지 그리고 어떻게 할지를 결정하는 회의이다. ==정의== 스프린트 계획은 스프린트 동안 수행할 작업을 설정하고, 팀이 스프린트 목표(Sprint Goal)에 도달하기 위해 일을 조직하는 이벤트이다. 회의에서는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가 높은...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5:232025년 10월 22일 (수) 05:23 차이 역사 −82 스크럼 미팅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5:122025년 10월 22일 (수) 05:12 차이 역사 +2,621 새글 퍼펙트 스톰 새 문서: 퍼펙트 스톰(영어: perfect storm)은 여러 악조건이 동시에 겹쳐 매우 심각하고 복합적인 위기 상황이 발생하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표현이다. ==정의 및 어원== 퍼펙트 스톰이라는 표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여러 개의 요인이 우연히 동시에 작용하여, 각각의 요인이 개별적으로 작용할 때보다 훨씬 강력하고 위험한 결과를 낳는 상황 *본래는 기상학 용...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5:032025년 10월 22일 (수) 05:03 차이 역사 +4,861 새글 DORA 메트릭 새 문서: DevOps Research and Assessment 메트릭(영어: DORA Metrics)은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효율성과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 집합이다. 이 메트릭은 개발‑운영(DevOps) 문화 및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조직들이 핵심 성과를 수치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Four Key Metric이라고도 불리며 DevOps, CI/CD, SRE 분야에서는 거의 '''업계 공인 지표처럼 널리 사용된다.''' ==...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4:542025년 10월 22일 (수) 04:54 차이 역사 +32 새글 깃헙 액션 GitHub Actions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04:032025년 10월 22일 (수) 04:03 차이 역사 +5,683 새글 오케스트레이션 패턴 새 문서: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영어: Orchestration Patter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중앙 컨트롤러(오케스트레이터)가 전체 워크플로우를 제어하고, 각 서비스에 작업을 명령하여 전체 흐름을 관리하는 설계 방식이다. ==정의== 오케스트레이션 패턴은 여러 서비스가 협력하여 하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완성해야 할 때, 중앙의 오케스트레이터가 서비스 간 호출 순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4:002025년 10월 22일 (수) 04:00 차이 역사 +5,062 새글 코레오그래피 패턴 새 문서: 코레오그래피 패턴(영어: Choreography Patter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각 서비스가 이벤트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전체 흐름을 자율적으로 구성하는 설계 패턴이다. ==정의== 코레오그래피 패턴은 여러 서비스가 비동기 이벤트 기반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워크플로우의 흐름을 중앙에서 제어하지 않고, 각 서비스가 자신의 책임을 수행하고 다음 서비스를...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1:022025년 10월 22일 (수) 01:02 차이 역사 −1 마이크로서비스 넘겨주기 대상을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문서로 변경했습니다 최신 태그: 넘겨주기 대상 변경
- 01:022025년 10월 22일 (수) 01:02 차이 역사 +1,762 새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새 문서: 분류:소프트웨어 공학분류:기술사 기출 ;Microservice Architecture ;대용량 웹 기반 분산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는 아키텍처스타일로 SOA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의 경량화 및 독립적 배치가 가능한 서비스 조합 아키텍처 * 아주 작은 단위로 동작하는 서비스가 구동되도록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정의 * 신속한 변경 가능(애자... 최신
- 01:012025년 10월 22일 (수) 01:01 차이 역사 −1,711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1:012025년 10월 22일 (수) 01:01 차이 역사 +6,713 새글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새 문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영어: Cloud‑Native Infrastructure)은 클라우드 환경의 특성과 원칙을 인프라 설계 및 운영에 내재화한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으로, 지속적 변화, 자동화, 확장성, 복원력(resilience)을 중심으로 설계된다. ==개념 및 정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는 단순히 인프라를 클라우드에 올리는 것 이상이다. 이는 인프라가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갖추...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592025년 10월 22일 (수) 00:59 차이 역사 +34 12 팩터 앱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582025년 10월 22일 (수) 00:58 차이 역사 +3,665 새글 12 팩터 앱 새 문서: '''12 팩터 앱'''(영어: The Twelve‑Factor App)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개발하고 운영할 때 이식성,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안된 12가지 원칙이다. ==개요== 12‑Factor 앱 방법론은 2011년 Heroku 소속 개발자들이 정의하였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일관되게 개발, 배포, 운영하기 위한 실천 지침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 태그: 시각 편집
- 00:482025년 10월 22일 (수) 00:48 차이 역사 +4,903 새글 코드형 인프라 새 문서: '''코드형 인프라'''(영어: Infrastructure as Code, IaC)는 서버,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 컴퓨팅 인프라를 수작업이 아닌 코드 정의 방식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자동화, 재현성, 일관성을 확보하는 인프라 운영 방식이다. ==개념== 코드형 인프라는 인프라스트럭처를 사람이 직접 설정하지 않고, 선언적 또는 명령형 코드 파일로 정의하고 실행함으...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402025년 10월 22일 (수) 00:40 차이 역사 +4,464 새글 서버는 반려동물이 아닌 가축 새 문서: '''반려동물이 아닌 가축: 서버 인프라에서의 ‘Pets vs Cattle’ 은유'''(영어: Pets vs Cattle in IT / Servers as Cattle not Pets)은 서버 및 인프라 운영 방식에서 '''개별 서버를 특별히 애지중지하여 관리하는 방식'''(반려동물 Pets) 과 '''동일하게 대량으로 운영하고 문제가 생기면 교체 가능한 방식'''(가축 Cattle) 사이의 대비를 설명하는 은유이다. ==개념== *반려동물(Pets)...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342025년 10월 22일 (수) 00:34 차이 역사 +5,365 새글 테일러리즘 새 문서: '''테일러주의(영어: Taylorism, 또는 과학적 관리법)'''은 20세기 초 프레더릭 윈즐로 테일러(Frederick Winslow Taylor)가 제시한 노동관리 및 생산관리 이론으로, 작업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시간 및 동작을 연구하여 노동자와 작업 방식의 표준화·최적화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경영 패러다임이다. ==개념 및 의의== 테일러주의는 다음과 같은 기본 개념을...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312025년 10월 22일 (수) 00:31 차이 역사 +6,506 새글 회로 차단기 패턴 (소프트웨어 공학) 새 문서: 회로 차단기 패턴(영어: Circuit Breaker Pattern)은 분산 시스템이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반복적인 호출 실패가 전체 시스템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호출을 일시 차단하고 복구 시점을 제어하는 내결함성 설계 패턴이다. ==의도 및 목적== *호출 대상 서비스에 반복적인 실패가 발생할 때 호출을 계속 시도함으로써 호출자 또는 다른 종속 서비스...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282025년 10월 22일 (수) 00:28 차이 역사 +21 스토리 포인트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272025년 10월 22일 (수) 00:27 차이 역사 +42 정보관리기술사 129회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272025년 10월 22일 (수) 00:27 차이 역사 +5,195 새글 몽키 테스트 새 문서: '''몽키 테스트(소프트웨어 공학)'''(영어: Monkey Testing)은 테스트 케이스나 시나리오 없이 무작위 입력이나 사용자 이벤트를 애플리케이션에 가하여, 예기치 않은 오류나 충돌이 발생하는지를 탐색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이다. ==개념== 몽키 테스트는 내부 구조나 상세 기능을 미리 고려하지 않고, 마치 원숭이가 무작위로 키를 누르거나 화면을 터치하듯이 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032025년 10월 22일 (수) 00:03 차이 역사 +4,836 새글 허영 지표 새 문서: '''허영 지표(애자일)'''(영어: Vanity Metrics)은 애자일(Agile)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에서 겉보기에는 긍정적인 성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팀이나 조직의 개선 활동이나 의사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지표를 의미한다. ==개념== 허영 지표는 외형적으로 좋은 수치를 보여주지만, 그 결과가 행동이나 학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측정...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022025년 10월 22일 (수) 00:02 차이 역사 +7,471 새글 실행 가능한 지표 (애자일) 새 문서: '''실행 가능한 지표(애자일)'''(영어: Actionable Agile Metrics)은 애자일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 방식에서 팀이나 조직이 실제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측정 가능한 성과 지표이다. ==개념 및 목적== 애자일 방식에서는 반복(iteration)과 피드백(loop)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핵심이다. 이때 단순히 ‘측정’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표가 '''실제로 팀...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10월 21일 (화)
- 14:492025년 10월 21일 (화) 14:49 차이 역사 +4,814 새글 RESTful API 새 문서: RESTful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웹 API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간단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설계한 인터페이스이다. ==개요== RESTful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자원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통해 자원을 조작한다. REST 아키텍처는 상태 비저장(s...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8:532025년 10월 21일 (화) 08:53 차이 역사 +5,023 콘웨이의 법칙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6:542025년 10월 21일 (화) 06:54 차이 역사 +3,783 새글 Git checkout 새 문서: ‘git checkout’는 Git 저장소 내에서 브랜치(branch), 커밋(commit), 파일 상태(file state)를 전환하거나 복원하는 명령어이다. ==개요== '''git checkout''' 명령어는 현재 작업 디렉터리(working tree)와 HEAD가 가리키는 브랜치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브랜치나 커밋의 스냅샷(snapshot)으로 전환한다. <ref>https://git-scm.com/docs/git-checkout</ref> 이 명령어로 다음과 같은 작업이 가능...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10월 15일 (수)
- 02:212025년 10월 15일 (수) 02:21 차이 역사 +4,712 새글 Git rebase 새 문서: 깃 리베이스(Git rebase)는 한 브랜치의 커밋들을 다른 기준(베이스) 커밋 위에 다시 적용하는 작업이다. 즉, 브랜치의 기반을 새 커밋 위로 옮기면서 커밋 히스토리를 재작성하는 수단이다. ==개념 및 원리== 리베이스는 “현재 브랜치에 있는, 아직 기준(upstream)에 포함되지 않은 커밋들”을 임시로 떼어낸 뒤, 목표 기준 커밋(또는 브랜치)의 최신 상태 위에 하나씩 다... 최신
- 02:212025년 10월 15일 (수) 02:21 차이 역사 −4,684 Git Rebase Git rebase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2:202025년 10월 15일 (수) 02:20 차이 역사 +4,712 새글 Git Rebase 새 문서: 깃 리베이스(Git rebase)는 한 브랜치의 커밋들을 다른 기준(베이스) 커밋 위에 다시 적용하는 작업이다. 즉, 브랜치의 기반을 새 커밋 위로 옮기면서 커밋 히스토리를 재작성하는 수단이다. ==개념 및 원리== 리베이스는 “현재 브랜치에 있는, 아직 기준(upstream)에 포함되지 않은 커밋들”을 임시로 떼어낸 뒤, 목표 기준 커밋(또는 브랜치)의 최신 상태 위에 하나씩 다...
- 02:202025년 10월 15일 (수) 02:20 차이 역사 −4,677 Git rebasae Git Rebase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 02:202025년 10월 15일 (수) 02:20 차이 역사 +4,073 새글 Git merge 새 문서: 깃 머지(Git merge)는 두 개 이상의 브랜치의 변경 내역을 하나로 합치는 작업이다. 즉, 별도로 개발된 브랜치들의 커밋 흐름을 하나의 브랜치에 병합하여 통합된 히스토리를 만드는 방법이다. ==개념 및 원리== 머지는 공통 조상 커밋을 기준으로 각각의 브랜치 변경사항을 비교한 뒤, 공통 조상 이후의 변경을 한쪽 브랜치(현재 브랜치)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간단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2:082025년 10월 15일 (수) 02:08 차이 역사 +4,712 새글 Git rebasae 새 문서: 깃 리베이스(Git rebase)는 한 브랜치의 커밋들을 다른 기준(베이스) 커밋 위에 다시 적용하는 작업이다. 즉, 브랜치의 기반을 새 커밋 위로 옮기면서 커밋 히스토리를 재작성하는 수단이다. ==개념 및 원리== 리베이스는 “현재 브랜치에 있는, 아직 기준(upstream)에 포함되지 않은 커밋들”을 임시로 떼어낸 뒤, 목표 기준 커밋(또는 브랜치)의 최신 상태 위에 하나씩 다...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10월 13일 (월)
- 03:222025년 10월 13일 (월) 03:22 차이 역사 +3,747 새글 ORM 프레임워크 새 문서: ORM 프레임워크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객체 모델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 사이의 변환(mapping)을 자동화하고 단순화해 주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개념 및 역할==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객체와 그 속성들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컬럼, 키 등의 구조와 매핑하는 기술이다.<ref>“Object–relat...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3:202025년 10월 13일 (월) 03:20 차이 역사 +63 SQLAlchemy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3:192025년 10월 13일 (월) 03:19 차이 역사 +5,264 새글 SQLAlchemy 새 문서: SQLAlchemy는 파이썬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SQL 툴킷이자 객체 관계 매핑(ORM) 라이브러리이다. == 개요 == SQLAlchemy는 파이썬 개발자에게 SQL의 모든 기능과 데이터베이스 지속성 패턴을 파이썬스러운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며, 성능과 유연성을 모두 고려한 설계가 특징이다.<ref>SQLAlchemy 공식 문서</ref><ref>“Overview — SQLAlchemy 2.0 Documentation...
2025년 10월 8일 (수)
- 08:562025년 10월 8일 (수) 08:56 차이 역사 +3,287 새글 Codecov 새 문서: Codecov은 테스트 커버리지를 시각화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로서, 개발자가 코드베이스 내 어느 부분이 테스트되고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개요== Codecov은 CI(지속 통합) 도구와 연동되어 테스트 실행 결과로 생성된 커버리지 리포트(예: lcov, cobertura, coverage.py 등)를 업로드하고, 이를 기반으로 커버리지 비율, 변경에 따른 커버리지 증감, 소스 코드 위에 커...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7:542025년 10월 8일 (수) 07:54 차이 역사 +4,499 GitHub Actions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7:292025년 10월 8일 (수) 07:29 차이 역사 +2,436 새글 GitHub Actions 새 문서: GitHub Actions는 GitHub 저장소 내에서 워크플로우(workflows)를 자동화할 수 있게 해 주는 CI/CD 및 이벤트 기반 자동화 플랫폼이다. ==개념 및 구성 요소== GitHub Actions는 저장소에 `.github/workflows/` 디렉터리에 YAML 형식의 워크플로우 정의 파일을 두고, 특정 이벤트(push, pull_request 등)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일련의 작업(job)을 실행시키는 구조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 태그: 시각 편집
- 07:282025년 10월 8일 (수) 07:28 차이 역사 +4 GitHub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7:262025년 10월 8일 (수) 07:26 차이 역사 +4,724 GitHub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9월 24일 (수)
- 05:072025년 9월 24일 (수) 05:07 차이 역사 +41 새글 백로그 그루밍 백로그 정제 회의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04:512025년 9월 24일 (수) 04:51 차이 역사 +4,508 새글 데일리 스크럼 새 문서: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은 스크럼(Scrum) 프레임워크에서 스프린트 내 매일 개발 팀(Developers)이 모여 스프린트 목표(Sprint Goal)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하루 동안의 작업 계획을 조정하며 장애 요소를 식별하는 짧고 집중된 회의이다. ==정의== 데일리 스크럼은 스프린트 기간 동안 매 영업일(working day)에 동일한 시간과 장소(또는 동일한 형식)에서 15분(time‑boxed) 이내...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4:482025년 9월 24일 (수) 04:48 차이 역사 +221 애자일 방법론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4:462025년 9월 24일 (수) 04:46 차이 역사 +4,307 새글 백로그 정제 회의 새 문서: 백로그 정제 회의(Backlog Refinement Meeting)는 애자일 개발, 특히 스크럼(Scrum) 방법론에서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회의이다. 사용자 스토리, 기능, 버그 등 백로그 항목들을 검토하고 우선순위, 크기, 설명 등을 조정하여 다음 스프린트 계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의== 백로그 정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4:392025년 9월 24일 (수) 04:39 차이 역사 +3,673 새글 프로덕트 백로그 새 문서: 프로덕트 백로그(Product Backlog)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특히 스크럼(Scrum)에서 사용되는 핵심 산출물로, 제품 개발에 필요한 모든 작업 항목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한 목록이다. ==정의== 프로덕트 백로그는 제품에 필요한 기능, 개선 사항, 버그 수정, 기술 부채, 비기능적 요구사항 등 다양한 작업 항목을 포함하며, 제품 소유자(Product Owner)가 책임지고 관...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4:272025년 9월 24일 (수) 04:27 차이 역사 +8,737 새글 스포티파이 애자일 모델 새 문서: <nowiki>{{서문 Spotify 애자일 모델(영어: Spotify Model)은 애자일 원칙을 기반으로 한 팀 조직 방식으로, 스포티파이(Spotify)가 성장하면서 제품 개발의 민첩성, 팀 자율성, 협업 및 지식 공유를 유지하기 위해 고안한 조직 구조이다.}}</nowiki> ==배경== 스포티파이는 초기 스타트업 단계에서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전통적 스크럼(Scrum) 방식만으로는 여러 팀이 동시에 일하고,...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1:392025년 9월 24일 (수) 01:39 차이 역사 +73 에픽 (스크럼)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1:392025년 9월 24일 (수) 01:39 차이 역사 +71 새글 파일:애자일 작성 계.png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1:382025년 9월 24일 (수) 01:38 차이 역사 +92 사용자 스토리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