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럼 팀: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스크럼 팀(Scrum Team)은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전문 인력 집단으로, 스크럼 마스터, 프로덕트 오너, 개발자들로 구성된다. ==구성과 역할== 스크럼 팀은 다음 세 가지 책임(accountabilities)을 가진 역할들로 이루어지며, 계층 구조(sub‑teams) 없이 하나의 목표(Product Goal)를 중심으로 협력한다.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차이 없음)

2025년 9월 17일 (수) 06:47 판

스크럼 팀(Scrum Team)은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전문 인력 집단으로, 스크럼 마스터, 프로덕트 오너, 개발자들로 구성된다.

구성과 역할

스크럼 팀은 다음 세 가지 책임(accountabilities)을 가진 역할들로 이루어지며, 계층 구조(sub‑teams) 없이 하나의 목표(Product Goal)를 중심으로 협력한다.

  •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할 책임이 있다.
    • 제품 목표(Product Goal)를 정의하고,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관리하며, 백로그 항목을 명확히 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함.
    • 제품 백로그가 투명하고, 이해하기 쉽고, 팀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보이는 상태로 유지되게 함.
  • 개발자들(Developers)
    • 매 스프린트마다 사용 가능한 인크리먼트(Increment)를 만들 책임이 있다.
    •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를 계획하고, 정의된 ‘완료 기준(Definition of Done)’을 지키며, 매일 계획(plan)을 조정함.
    • 서로에게 전문가로서 책임을 지며, 상호 간에 협력하고 자율적으로(Self‑Organizing) 일함.
  •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 스크럼 이론과 관행을 이해시키고 적용하게 하며, 팀과 조직이 스크럼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함.
    • 팀이 장애물(impediments)을 제거하고, 스프린트 목표 달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함.
    • 모든 스크럼 이벤트가 유의미하게 이루어지도록 촉진하고, 팀이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크기와 특성

스크럼 팀은 다음과 같은 크기 및 특성을 갖는다:

  • 팀 크기
    • 일반적으로 10명 이하의 인원이 권장됨. 너무 커지면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워지고 민첩성이 저하됨.
    • 프로덕트 오너, 스크럼 마스터, 개발자들이 포함됨.
  • 다기능성(Cross‑Functional)
    • 개발자들이 설계, 구현, 테스트, UX, DevOps 등 제품 인크리먼트 완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팀 내부에 갖춤. 외부 의존성이 적을수록 더 좋음.
  • 자율 조직화(Self‑Organizing)
    • 팀이 스스로 작업 방법, 일정, 분업 등을 결정함.
    • 서로 책임을 지며, 스크럼 마스터는 이 과정을 지원함.

책임

스크럼 팀 전체가 다음과 같은 책임을 공유한다:

  • 매 스프린트마다 가치 있는 인크리먼트를 제공함.
  • 제품 목표(Product Goal)를 향해 작업함.
  • 제품 관련 활동 전반 (이해관계자 협력, 유지보수, 운영, 실험, 연구 등)을 담당함.
  • 스프린트 진행 중 매일 계획을 조정하고 데일리 스크럼에서 진척도를 검토함.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Scrum Guide — Ken Schwaber & Jeff Sutherland
  • Atlassian, “What is Scrum Tea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