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재판부: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분류:법률]] | [[분류:법률]] | ||
[[분류:조직/단체]] | |||
[[분류:제도]] |
2025년 9월 19일 (금) 01:08 기준 최신판
내란재판부는 내란죄 및 관련 특검 사건을 전담하여 심리하기 위해 설치가 논의되고 있는 전문 재판부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내란재판부는 헌정질서 파괴 행위로 간주되는 내란죄와 관련된 중대 사건을 보다 신속하고 집중적으로 심리하기 위해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제도적 장치이다. 기존의 일반 형사합의부 대신 특정 재판부를 전담 지정하거나 신설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정치적 파장이 큰 특검 사건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배경[편집 | 원본 편집]
- 2025년 윤석열 전 대통령을 포함한 고위 인사들에 대해 내란 혐의가 적용되며, 이를 수사하기 위한 특별검사가 도입되었다.
- 사건이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5부에 배당되었고, 업무 부담과 지연 우려로 인해 사법부와 정치권 모두에서 전담 재판부 설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더불어민주당은 내란 특검 등 중대 사안을 신속하게 심리하기 위한 전담재판부 설치 법안을 국회에 발의하였다[1].
구성 및 운영 방식[편집 | 원본 편집]
- 재판부 구성 방식: 기존 형사합의부 중 일부를 전담 지정하거나, 아예 별도의 특검 전담합의부를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 배당 방식: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특정 사건은 자동 배당이 아닌 법원장의 지정 방식으로 전담부에 배정될 가능성이 있다.
- 정치권 관여 논란: 발의된 법안 일부에는 재판부 구성에 국회 또는 외부 인사가 일부 관여하는 절차가 담겨 있어 사법부 독립 침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
쟁점[편집 | 원본 편집]
- 사법부 독립성 침해: 특정 사건만을 위한 재판부 설치가 입법부 또는 행정부의 간섭으로 이어질 경우 헌법상 사법권 독립 원칙에 위배된다는 우려가 크다[3].
- 특별재판부와의 구분: 내란재판부가 실질적으로 특별재판부 기능을 수행할 경우, 헌법 제110조 1항이 금지한 ‘특별법원’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는 법적 해석이 존재한다[4].
- 정치적 이용 우려: 특정 정파의 입장에 따라 전담재판부가 구성되고 운영될 경우, 사법의 정치화 및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전망[편집 | 원본 편집]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한정애는 "사법부가 스스로 움직이지 않으면 입법부가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밝혀, 입법 추진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5].
- 이에 대해 법원행정처는 "전담재판부 설치가 사법권 독립을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위헌 가능성이 있다"는 공식 입장을 국회에 제출하였다[6].
- 전국 법원장 회의에서도 "목적을 가진 사후적 재판부 구성은 위험하다"는 다수 의견이 제기되며 부정적 입장이 우세하였다[7].
- 여당 내부에서도 ‘전담재판부’라는 용어 선택에 신중함을 보이며, ‘특별재판부’로 오해받지 않도록 조정하는 움직임이 확인되었다[8].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경향신문, 〈내란재판부 무슨 문제인지…사법부 안 나서면 입법부가 추진〉, 2025.9.14. https://www.khan.co.kr/article/202509142038025
- 조선일보, 〈‘내란 특별재판부 설치는 위헌’ 헌법소원 제기〉, 2025.9.2. 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5/09/02/PKESBDRYWJHLFOADGPDNDLBQFA
- 채널A, 〈이례적 마라톤 회의…“내란재판부 우려” 이유는?〉, 2025.9.13. https://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492030
- 경향신문 주간지, 〈특별재판부는 왜 위험한가〉, 2025.9.12. https://weekly.khan.co.kr/article/202509121438001
- 마인들뉴스, 〈여당 내서도 “특별재판부 표현 부담”…용어 조정 움직임〉, 2025.9.15.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54
각주[편집 | 원본 편집]
- ↑ 경향신문, 〈내란재판부 무슨 문제인지…사법부 안 나서면 입법부가 추진〉, 2025.9.14. https://www.khan.co.kr/article/202509142038025
- ↑ 조선일보, 〈‘내란 특별재판부 설치는 위헌’ 헌법소원 제기〉, 2025.9.2. 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5/09/02/PKESBDRYWJHLFOADGPDNDLBQFA
- ↑ 채널A, 〈이례적 마라톤 회의…“내란재판부 우려” 이유는?〉, 2025.9.13. https://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492030
- ↑ 경향신문 주간지, 〈특별재판부는 왜 위험한가〉, 2025.9.12. https://weekly.khan.co.kr/article/202509121438001
- ↑ 경향신문, 〈내란재판부 무슨 문제인지…사법부 안 나서면 입법부가 추진〉, 2025.9.14. https://www.khan.co.kr/article/202509142038025
- ↑ 조선일보, 〈‘내란 특별재판부 설치는 위헌’ 헌법소원 제기〉, 2025.9.2. 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5/09/02/PKESBDRYWJHLFOADGPDNDLBQFA
- ↑ 채널A, 〈이례적 마라톤 회의…“내란재판부 우려” 이유는?〉, 2025.9.13. https://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492030
- ↑ 마인들뉴스, 〈여당 내서도 “특별재판부 표현 부담”…용어 조정 움직임〉, 2025.9.15.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