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접근통제
IT 위키
네트워크 접근통제 요구사항[편집 | 원본 편집]
- 조직의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경로를 식별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비인가 접근 등 관련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대응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접근통제 관리절차를 수립·이행하여야 한다.
- 정보시스템, 개인정보처리시스템, PC 등에 IP주소 부여 시 승인절차에 따라 부여하는 등 허가되지 않은 IP사용 통제
- 비인가자 및 단말의 내부 네트워크 접근 통제
- 네트워크 장비에 설치된 불필요한 서비스 및 포트 차단 등
 
- 서비스, 사용자 그룹, 정보자산의 중요도, 법적 요구사항에 따라 네트워크 영역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 간 접근통제를 적용하여야 한다.
- 위험평가를 통하여 핵심 업무영역의 네트워크 분리 및 영역 간 접근통제 수준 결정
 
적용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접근통제 영역 | 접근통제 적용 예시 | 
|---|---|
| DMZ | 
 | 
| 서버팜 | 
 | 
| 데이터베이스팜 | 
 | 
| 운영자 환경 | 
 | 
| 개발 환경 | 
 | 
| 외부자 영역 | 
 | 
| 기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