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 분석
IT 위키
ABC 분석은 재고 항목이나 고객, 제품 등을 중요도나 기여도에 따라 A, B, C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토 법칙(80/20 법칙)을 기반으로 하며, 관리 자원을 핵심 항목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된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A 항목: 전체 가치의 약 70~80%를 차지하는 상위 10~20%의 항목
- B 항목: 전체 가치의 약 15~25%를 차지하는 중간 30~40% 항목
- C 항목: 전체 가치의 5% 이하를 차지하는 하위 50% 항목
2 목적[편집 | 원본 편집]
- 중요 항목(A)에 더 많은 자원과 통제를 집중
- 중간 항목(B)은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
- 덜 중요한 항목(C)은 단순화 또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처리
3 절차[편집 | 원본 편집]
- 모든 항목에 대해 연간 소비 금액 계산
- 금액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
- 누적 기여율을 기준으로 A, B, C 세 그룹으로 구분
- 각 그룹에 차별화된 관리 정책 적용
4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항목별 연간 소비액 기준 정렬 결과:
- A 그룹: 15개 항목, 전체 금액의 75%
- B 그룹: 25개 항목, 전체 금액의 20%
- C 그룹: 60개 항목, 전체 금액의 5%
5 적용 분야[편집 | 원본 편집]
6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복잡한 데이터를 간단한 그룹으로 요약
- 한정된 자원으로 효율적인 관리 가능
- 전략적 집중이 필요한 대상 도출 가능
7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금액 중심 분석에 편중되어 수요량, 중요도 등 다른 요소 반영 어려움
- 기준 설정이 주관적일 수 있음
- 동적 변화 반영 어려움 → 정기적 재분석 필요
8 관련 기법[편집 | 원본 편집]
9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10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Chopra & Meindl. (2019).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
- Silver, Pyke, & Peterson. (1998). Inventory Management and Prod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 한국생산성본부. 재고분석 실무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