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관리
IT 위키
재고 관리는 기업이 보유한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 등의 재고를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하며, 수요에 맞게 공급을 조절하는 활동이다. 과잉 재고나 재고 부족을 방지하고, 생산과 판매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재고(inventory): 판매를 위해 보유 중인 모든 물품
- 원자재, 부품, 반제품, 완제품 등이 포함됨
- 재고 관리는 이러한 재고를 수량, 위치, 상태별로 추적하고 관리하는 과정
2 목적[편집 | 원본 편집]
- 수요 충족: 고객 주문에 즉시 대응
- 비용 절감: 과잉 재고로 인한 보관비, 폐기 손실 최소화
- 생산 효율성: 생산 흐름에 필요한 재료를 적기에 공급
- 리드 타임 보완: 납기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역할
3 주요 기법[편집 | 원본 편집]
- EOQ(경제적 주문량)
- 총비용(주문비용 + 보관비용)이 최소가 되는 최적 주문량 계산
- ABC 분석
- 재고를 중요도에 따라 A, B, C 세 등급으로 구분하여 집중 관리
- JIT(Just-in-Time)
- 재고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시점에 정확히 공급하는 방식
- ROP(재주문점) 모델
- 재고가 특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 주문
- 안전재고(safety stock)
- 수요 변동 또는 공급 지연에 대비한 추가 재고
4 지표 및 도구[편집 | 원본 편집]
- 재고 회전율 = 연간 매출원가 / 평균 재고
- 재고 일수 = 365 / 재고 회전율
- ERP 시스템, WMS(창고관리시스템) 등 IT 기반 솔루션 활용
5 유형[편집 | 원본 편집]
- 사이클 재고: 정상적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본 재고
- 안전 재고: 수요/공급의 불확실성 대비
- 이월 재고: 전시즌 또는 과거 제품
- 사전 확보 재고: 가격 상승이나 공급 불안정에 대비
6 문제점 및 위험[편집 | 원본 편집]
- 과잉 재고: 비용 증가, 폐기 위험, 자산 회전율 저하
- 재고 부족: 판매 기회 상실, 고객 불만, 생산 중단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8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Chopra & Meindl. (2019).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
- Nahmias, S. (2011). Production and Operations Analysis
- 한국생산성본부. 재고관리 실무 매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