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상하부

IT 위키
인공무능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7월 15일 (화) 12:40 판 (새 문서: 시상하부(視床下部, hypothalamus)는 뇌의 간뇌(diencephalon) 부위에 위치한 구조로,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조절 중심 역할을 한다. 항상성 유지, 내분비 조절, 생식, 감정, 체온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관장하며,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중추로 간주된다. ==구조== 시상하부는 시상(thalamus) 아래쪽에 위치하며, 해부학적으로 제3뇌실(third ventricle)의 벽을 형성한다. 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시상하부(視床下部, hypothalamus)는 뇌의 간뇌(diencephalon) 부위에 위치한 구조로,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조절 중심 역할을 한다. 항상성 유지, 내분비 조절, 생식, 감정, 체온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관장하며,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중추로 간주된다.

구조[편집 | 원본 편집]

시상하부는 시상(thalamus) 아래쪽에 위치하며, 해부학적으로 제3뇌실(third ventricle)의 벽을 형성한다. 시상하부는 여러 개의 핵(nucleu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한 핵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시각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us, SCN): 생체 시계(서카디안 리듬)의 중심
  • 복내측핵(ventromedial nucleus): 포만감 조절
  • 외측시상하부핵(lateral hypothalamic area): 식욕 유발
  • 시상하부후부(posterior hypothalamus): 체온 유지
  • 시상하부전부(anterior hypothalamus): 체온 조절, 열 발산

기능[편집 | 원본 편집]

시상하부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자율신경계 조절: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의 활동 조절
  • 내분비계 조절: 뇌하수체와 연결되어 호르몬 분비 조절 (예: 옥시토신, 바소프레신)
  • 체온 조절: 발열, 땀 배출, 혈관 수축 등 조절
  • 식욕 및 포만감 조절: 에너지 균형 유지
  • 수면-각성 주기 조절: 생체 리듬 및 멜라토닌 분비 간접 조절
  • 감정과 행동: 분노, 성행동 등 본능적 행동 조절

시상하부와 뇌하수체[편집 | 원본 편집]

시상하부는 뇌하수체 전엽과 후엽 모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호르몬의 분비를 통해 신체의 다양한 내분비 기능을 통제한다.

  • 후엽에서는 시상하부 뉴런에서 직접 생성된 호르몬(옥시토신, 바소프레신)을 저장 및 방출한다.
  • 전엽에서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방출/억제 호르몬이 문맥계를 통해 전달되어,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호르몬 등 여러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한다.

관련 질환[편집 | 원본 편집]

시상하부 기능의 이상은 다음과 같은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시상하부 기능 부전: 식욕, 체온, 수면, 성기능의 이상
  • 프레더-윌리 증후군: 시상하부 이상으로 인한 과식과 비만
  • 당뇨병성 요붕증: 바소프레신 결핍으로 인한 수분 조절 실패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 해마
  • 대뇌변연계
  • 뇌하수체
  • 자율신경계
  • 내분비계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Guyton, A. C., & Hall, J. E. (2020).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4th ed.). Elsevier.
  • Saper, C. B., et al. (2002). The hypothalamus. *Current Biology*, 12(3), R111–R115.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