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린트
IT 위키
스프린트(Sprint)는 스크럼(Scrum)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반복 주기(iteration)로, 일정 기간 동안 정의된 목표를 달성하고 작동 가능한 제품 인크리먼트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의 및 개념
- 스프린트는 보통 1주에서 4주 사이의 고정된 기간(time‑boxed)이다. 한 달을 넘지 않아야 한다.
- 각 스프린트는 목표(Sprint Goal)를 가지며, 스프린트가 끝날 때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증분(Increment, 작동 가능한 제품)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 스프린트 중에는 스프린트 계획, 일일 스크럼,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회고 등의 이벤트가 반드시 수행된다.
목적
스프린트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들은 다음과 같다:
- 지속적인 가치 제공 — 짧은 주기로 작동 가능한 제품 인크리먼트를 만들어 고객 또는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
- 리스크 감소 — 전체 프로젝트를 한꺼번에 개발하는 대신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문제 발생 시 조기에 파악하고 대응
- 팀 집중도 향상 — 팀이 스프린트 동안 달성해야 할 목표에 집중하도록 돕고, 외부의 변화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
- 지속적 개선 — 리뷰(review)와 회고(retrospective)를 통해 과정과 방법을 돌아보고 더 나은 스프린트 실행을 위한 개선점 발견
구성 요소 및 활동
스프린트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 및 주요 활동이 포함된다:
- 스프린트 계획(Sprint Planning)
- 어떤 제품 백로그 항목(Product Backlog Items, PBIs)을 이번 스프린트에 완료할지 선택
- 스프린트 목표 설정
- 실행 기간(Execution Period)
- 개발자들이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의 작업을 수행함
- 일일 스크럼(Daily Scrum)으로 진행 상태 점검 및 장애물 식별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 완료된 증분(Increment)을 이해관계자와 공유하고, 제품의 다음 방향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
-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
- 스프린트 동안 잘한 점과 개선할 점을 분석
- 다음 스프린트의 프로세스나 협업 방식 개선안을 도출
기간 및 타이밍
- 스프린트의 기간은 조직의 규모, 팀의 경험, 제품 복잡도 등에 따라 결정되지만, 보통 2주 또는 1달 이하가 권장됨.
- 스프린트 간에는 간극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임
- 각 이벤트(계획, 리뷰, 회고 등)의 시간도 스프린트 기간에 비례하여 결정됨 (예: 한 달짜리 스프린트의 계획 회의는 최대 8시간)
유의사항 및 한계
- 스프린트 목표는 기간 중에는 변경해서는 안 됨
- 너무 많은 작업을 넣지 않도록 팀 역량(capacity)을 현실적으로 고려
- 작업의 세분화(tasking)가 부족하면 일일 스크럼 등에서 진척 측정이 어려움
- 과도한 반복 또는 검사(리뷰/회고)가 부담이 되어 비생산적이 되지 않도록 주의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Scrum Guide (2020), 한국어판 — 스크럼 공식 가이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