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로시티 (스크럼)

IT 위키
Agiler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9월 17일 (수) 08:26 판 (새 문서: 벨로시티(Velocity)는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한 스프린트 동안 스크럼 팀이 완료할 수 있는 작업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 스토리 포인트(Story Points) 단위로 측정된다. ==정의 및 개념== 벨로시티는 특정 기간(주로 한 스프린트) 내에 완료된 작업 항목들의 스토리 포인트 합으로 계산된다. 이를 통해 팀의 작업 수행 능력(work capacity)을 예측하고, 스프린트 계획 또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벨로시티(Velocity)는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한 스프린트 동안 스크럼 팀이 완료할 수 있는 작업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 스토리 포인트(Story Points) 단위로 측정된다.

정의 및 개념[편집 | 원본 편집]

벨로시티는 특정 기간(주로 한 스프린트) 내에 완료된 작업 항목들의 스토리 포인트 합으로 계산된다. 이를 통해 팀의 작업 수행 능력(work capacity)을 예측하고, 스프린트 계획 또는 릴리즈 계획에 활용할 수 있다.

특징 및 활용[편집 | 원본 편집]

  • 벨로시티는 팀마다 기준이 다르며, 동일한 팀 내에서 여러 스프린트를 실행하면서 평균치를 기반으로 안정화된다.
  • 스프린트 계획 시 얼마나 많은 작업을 약속(commit)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기반이 된다.
  • 백로그의 작업 우선순위 결정, 릴리즈 일정 예측,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등에 사용된다.

계산 방법[편집 | 원본 편집]

  • 여러 스프린트에서 완료된 스토리 포인트 합을 구한 뒤, 스프린트 수로 나누어 평균 벨로시티를 구함.
  • 팀이 완료한 스프린트의 작업 중 “완전히 완료된 항목”만을 포함함; 스프린트 중간에 변경된 범위(scope)나 추가된 항목은 일반적으로 계산에서 제외됨.[1]

유의사항 및 한계[편집 | 원본 편집]

  • 벨로시티는 과거 성과에 기반하므로 환경 변화, 팀 인원 변동, 기술적 복잡도 증가 등에 의해 변할 수 있음.
  • 다른 팀과의 비교 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 기준, 도구, 정의 등이 팀마다 다르기 때문.
  • 벨로시티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작업 추정이 과소 또는 과대일 가능성 있음; 또한 기술 부채, 장애, 외부 의존성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음.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