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픽 (스크럼)

IT 위키
Agiler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9월 17일 (수) 08:33 판 (새 문서: 에픽(Epic)은 애자일 및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 스토리(User Stories)보다 더 크고 고수준의 작업 단위로, 하나의 스프린트만으로 완성하기에는 너무 큰 기능 또는 요구사항을 의미한다. ==정의 및 개념== 에픽은 팀 또는 고객이 추구하는 큰 목표 또는 고수준 기능을 나타내며, 여러 개의 사용자 스토리(User Stories)로 나누어져 Product Backlog에 포함된다. 에픽은 여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에픽(Epic)은 애자일 및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 스토리(User Stories)보다 더 크고 고수준의 작업 단위로, 하나의 스프린트만으로 완성하기에는 너무 큰 기능 또는 요구사항을 의미한다.

정의 및 개념[편집 | 원본 편집]

에픽은 팀 또는 고객이 추구하는 큰 목표 또는 고수준 기능을 나타내며, 여러 개의 사용자 스토리(User Stories)로 나누어져 Product Backlog에 포함된다. 에픽은 여러 스프린트에 걸쳐 구현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범위(scope)가 유연(flexible)하다.

특징 및 역할[편집 | 원본 편집]

  • 너무 크거나 복잡하여 단일 스프린트에서 완료할 수 없음
  • 사용자 스토리 또는 기타 작은 작업 항목으로 분해 가능
  •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가 우선순위와 비즈니스 가치 관점에서 에픽의 정의와 관리를 책임짐
  • 이해관계자에게 비전(vison)과 맥락(context)을 제공하여 개발 방향성을 제시함

활용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새로운 플랫폼 기능 추가 (예: 모바일 앱에 사용자 인증 + 결제 + 알림 기능 묶음)
  • 대규모 리팩토링 작업 (예: 코드베이스 전반의 성능 최적화)
  • 다수의 관련 사용자 스토리들이 포함된 목표 (예: UX 재설계 및 사용자 흐름 개선)

분해(Breakdown) 과정[편집 | 원본 편집]

에픽을 사용자 스토리로 나누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에픽의 목표와 범위를 명확히 정의
  • 관련된 사용자 스토리들을 식별하고 우선순위 부여
  • 스프린트마다 완성 가능한 스토리만 선택
  • 피드백 및 학습(learning)을 통해 에픽 안의 스토리들 수정 또는 재구성

유의사항 및 한계[편집 | 원본 편집]

  • 너무 많은 에픽을 동시에 관리하면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가 복잡해지고 우선순위 조정이 어려워질 수 있음
  • 에픽의 범위가 불명확하면 스코프 크리프(scope creep)가 생기기 쉬움
  • 에픽 완료까지의 기간이 길면 이해관계자 기대치 관리가 필요
  • 에픽은 스크럼 공식 규칙(Core Scrum Rules)에는 필수 요소는 아니며, 선택적인 보조 도구임.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