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로시티 차트 (스크럼)

IT 위키
Agiler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9월 17일 (수) 08:36 판 (새 문서: 벨로시티 차트(Velocity Chart)는 스크럼 팀의 여러 스프린트에 걸친 작업 완료량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차트로, 앞으로의 스프린트에서 수행 가능한 예상 작업량을 계획하고 개선점을 탐색하는 데 사용된다. ==정의 및 개념== 벨로시티 차트는 각 스프린트가 시작할 때 약속(commitment)한 작업량과 스프린트가 끝날 때 실제 완료(completed)한 작업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며, 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벨로시티 차트(Velocity Chart)는 스크럼 팀의 여러 스프린트에 걸친 작업 완료량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차트로, 앞으로의 스프린트에서 수행 가능한 예상 작업량을 계획하고 개선점을 탐색하는 데 사용된다.

정의 및 개념[편집 | 원본 편집]

벨로시티 차트는 각 스프린트가 시작할 때 약속(commitment)한 작업량과 스프린트가 끝날 때 실제 완료(completed)한 작업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며, 여러 스프린트의 데이터를 활용해 앞으로의 가능 작업량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구성요소 및 읽는 법[편집 | 원본 편집]

  • 약속(Commitment) – 스프린트 시작 시에 포함된 모든 스토리 또는 백로그 항목에 대한 추정치 합.
  • 완료(Completed) – 스프린트 종료 시점에 ‘완료됨(Done)’으로 표시된 항목들의 실제 추정치 합.
  • 평균(Average 또는 Velocity)선 – 여러 스프린트의 완료치 평균을 구해, 미래 스프린트의 예상 성능 가늠선으로 사용됨.
  • X축 – 과거 완료된 여러 스프린트 순서
  • Y축 – 스토리 포인트, 작업 개수, 시간 단위 등 추정 방식에 따라 달라짐.

활용 및 이점[편집 | 원본 편집]

  • 미래 스프린트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줌 — 팀이 어느 정도의 작업량을 안정적으로 완료 가능한지 예측 가능.
  • 과도한 약속(overcommitment) 또는 적은 약속(undercommitment)을 파악하게 해 줌.
  • 팀이 지속적으로 작업 수행 안정성(stability)을 확보하도록 학습 및 개선 유도.
  • 이해관계자(Stakeholders)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유용함 — 실제 성취치와 계획치 간 차이를 공유할 수 있음.

유의사항 및 한계[편집 | 원본 편집]

  • 하나의 스프린트만으로 차트를 판단하면 흔히 변동성이 큼. 여러 스프린트 데이터가 누적되어야 평균치가 안정됨.
  • 스코프(scope)의 변화가 잦거나 작업 추가/삭제가 많으면 약속치와 완료치의 비교가 왜곡될 수 있음.
  • 추정 방식(스토리 포인트 vs 작업 개수 vs 시간 단위 등)이 일관되지 않으면 차트 해석이 어려움.
  • 팀 구성원, 작업 유형, 외부 의존성 등의 변화가 많으면 평균 벨로시티가 예측치로서의 신뢰성 낮아질 수 있음.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