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적 헤비안 학습

IT 위키
인공무능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10월 9일 (목) 12:24 판 (새 문서: 대조적 헤비안 학습(Contrastive Hebbian Learning, CHL)은 전통적인 헤비안 학습 규칙을 확장한 방식으로, 출력 뉴런을 고정(clamp)한 상태와 자유 상태(free state)에서의 신경망 상태 차이를 이용해 가중치를 갱신하는 생물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개념 및 동작 방식== CHL은 두 단계(phase)를 거쳐 학습을 수행한다: *'''자유 상태 (Free phase)''': 입력만 고정하고 출력은 자유롭게 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대조적 헤비안 학습(Contrastive Hebbian Learning, CHL)은 전통적인 헤비안 학습 규칙을 확장한 방식으로, 출력 뉴런을 고정(clamp)한 상태와 자유 상태(free state)에서의 신경망 상태 차이를 이용해 가중치를 갱신하는 생물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개념 및 동작 방식[편집 | 원본 편집]

CHL은 두 단계(phase)를 거쳐 학습을 수행한다:

  • 자유 상태 (Free phase): 입력만 고정하고 출력은 자유롭게 활성화가 흐르도록 놔두어 신경망이 안정 상태로 수렴하게 한다.
  • 고정 상태 (Clamped phase): 출력 뉴런들을 목표 값(target)으로 고정하고, 내부 네트워크가 다시 안정 상태로 수렴하도록 한다.

가중치는 이 두 상태에서의 활성화 교차곱(cross‑product)의 차이에 비례하여 조정된다 — 즉, \[ \Delta w_{ij} \propto (x_i^{\text{clamped}} y_j^{\text{clamped}}) - (x_i^{\text{free}} y_j^{\text{free}}) \]

이 방식은 에너지 기반 모델의 최소화 관점과 잘 맞는다.

이론적 관계 및 응용[편집 | 원본 편집]

  • CHL은 Backpropagation(역전파) 알고리즘과 수학적으로 동등한 성능을 보이는 경우가 있음이 증명된 바 있다 [1]
  • CHL은 연속형 호프필드 네트워크(continuous Hopfield model)에 적용 가능하며, 다양한 활성화 함수 및 자기 연결(self‑connections)도 허용된다 [2]
  • 최근에는 랜덤 피드백 가중치(Random Feedback Weights) 를 사용하는 변형도 제안되어, 시냅스 대칭성 가정을 완화한 버전이 연구되고 있다 [3]
  • CHL, 예측 부호화(predictive coding), Equilibrium propagation 등은 공통적으로 에너지 기반 모델 프레임워크 내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들 간의 연결성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장점과 한계[편집 | 원본 편집]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학습 신호가 지역적(local)이고 국소적 활동만으로 가중치 갱신 가능하므로 생물학적 타당성 높음
  • 역전파 없이 깊은 네트워크 학습 가능한 대안으로 연구됨
  • 에너지 최소화 원리와 자연스럽게 연결 가능

한계 및 도전[편집 | 원본 편집]

  • 자유 상태와 고정 상태 두 번의 안정 상태 수렴이 필요하므로 계산 비용이 큼
  • 고정 상태와 자유 상태가 서로 다른 에너지 모드(mode)에 빠질 위험 존재
  • 대규모, 복잡한 구조의 네트워크에 적용할 때 안정성 확보가 어려움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