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수지

IT 위키

기초 수지(基礎收支, Basic Balance)는 국제 수지표에서 자본수지와 경상수지를 합산하여 나타내는 지표로, 한 국가의 대외 거래에서의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1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기초 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단기적 금융 변동성을 제외한 보다 구조적인 국제 수지의 균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는 외환위기 가능성 평가나 경제의 대외 건전성을 분석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구성[편집 | 원본 편집]

기초 수지는 다음 두 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 경상수지: 상품 수출입, 서비스 거래, 본원소득, 이전소득 등을 포함한다.
  • 자본수지: 무상 원조에 따른 자본 이전 등 비금융성 자산의 거래를 포함한다.

이 둘을 합산한 값이 기초 수지가 되며, 이는 단기적 자본 유출입을 배제하고 국가의 구조적인 대외 수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둔다.

3 기초 수지의 중요성[편집 | 원본 편집]

기초 수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한 경제 지표로 간주된다.

  • 국가의 대외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 외환 보유액 변동 요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외환위기 가능성이나 국제 자본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4 다른 수지 지표와의 비교[편집 | 원본 편집]

기초 수지는 국제 수지표의 다른 지표들과 구분된다.

  • 금융수지는 단기적 자본 이동을 포함하며, 외환시장 변동에 민감하다.
  • 종합수지는 금융수지까지 포함하여 외환보유액의 증감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 반면, 기초 수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지를 나타내며 장기적 대외 건전성의 평가에 적합하다.

5 한계[편집 | 원본 편집]

기초 수지는 단기 자본 이동이나 외환 투기 등 외부 충격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 시장의 급격한 변화나 위기 발생 가능성을 과소평가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6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7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Krugman, P., & Obstfeld, M. (2009). *International Economics: Theory and Policy*. Pearson Education.
  • IMF. (2022). *Balance of Payments and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 Manual* (6th ed.).

8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