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 비율

IT 위키

샤프 비율(Sharpe Ratio)은 투자 자산의 성과를 위험 대비 수익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지표로, 추가적인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얻은 초과 수익률을 변동성으로 나눈 값이다. 금융 자산, 포트폴리오, 펀드 성과 비교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윌리엄 샤프(William F. Sharpe)에 의해 제안됨
  • 위험 조정 수익률(risk-adjusted return)을 평가
  • 수익률이 높더라도 변동성이 크면 낮은 샤프 비율로 평가될 수 있음

2 공식[편집 | 원본 편집]

샤프 비율 = (Rp − Rf) / σp

  • Rp: 포트폴리오의 기대 수익률
  • Rf: 무위험 수익률 (예: 국채 금리)
  • σp: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표준편차 (리스크)

3 해석[편집 | 원본 편집]

  • 샤프 비율이 높을수록 동일한 리스크 대비 더 많은 초과 수익을 냈다는 의미
  • 일반적인 기준:
    • 1 이상: 양호
    • 2 이상: 우수
    • 3 이상: 매우 우수

4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Rp = 10%, Rf = 2%, σp = 12%

→ 샤프 비율 = (10% − 2%) / 12% = 0.6667

5 장점[편집 | 원본 편집]

  • 서로 다른 리스크 수준의 포트폴리오 간 성과 비교 가능
  • 단순하면서 직관적인 위험 조정 수익률 지표
  • 평균-분산 분석 기반의 효율적 프론티어 평가에 사용

6 단점[편집 | 원본 편집]

  • 정규분포를 전제로 하며, 비대칭 리스크(테일 리스크)를 반영하지 못함
  • 표준편차를 리스크 전체로 가정 → 하방 리스크(Downside Risk) 미반영
  • 샤프 비율이 높아도 실제 투자자는 손실을 경험할 수 있음

7 관련 지표[편집 | 원본 편집]

8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9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Sharpe, W. F. (1966). Mutual fund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 Bodie, Z., Kane, A., & Marcus, A. J. (2018). Investments
  • CFA Institute. (2023). CFA Curriculum Level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