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린트 리뷰
IT 위키
스프린트 리뷰란 스프린트(반복작업) 종료 시점에 Scrum 팀이 완료한 작업을 이해관계자에게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 다음 작업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회의이다.
정의[편집 | 원본 편집]
- 스프린트 리뷰는 스프린트 동안 팀이 달성한 산출물(인크리먼트)을 검토하고 향후 적응할 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 회의이다.
- 회의 참가자는 스크럼 팀과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주요 이해관계자들이다.
주요 목적[편집 | 원본 편집]
- 완성된 기능을 데모 및 설명하여 이해관계자에게 팀의 진행 상황을 알린다.
- 이해관계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제품 백로그를 조정하고 향후 스프린트의 방향을 설정한다.
- 제품 목표(Product Goal)에 대한 진행을 점검하고, 시장이나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요소 및 절차[편집 | 원본 편집]
참가자[편집 | 원본 편집]
-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
- 개발 팀(Developers)
-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 이해관계자(Stakeholders) — 고객, 경영진, 타 팀 등
시간박스(Time-box)[편집 | 원본 편집]
스프린트가 한 달인 경우 스프린트 리뷰는 최대 4시간을 넘지 않아야 한다. 더 짧은 스프린트의 경우 그에 비례해 시간이 단축된다.
일반적 아젠다[편집 | 원본 편집]
- 개회 및 스프린트 목표 재확인
- 스프린트 동안 “완료된 항목”과 “완료되지 않은 항목” 보고
- 개발팀의 데모(완성된 기능 시연)
- 이해관계자 피드백 및 Q&A
- 제품 백로그 및 향후 스프린트 방향 논의
- 폐회 및 다음 단계 안내
모범 사례 및 유의사항[편집 | 원본 편집]
- 데모는 단순히 슬라이드를 나열하는 형태가 아니라 실제 기능을 보여주고 대화를 유도해야 한다.
- 기술적 상세 논의보다는 비즈니스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전달하여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한다.
- 회의 시간이 길어지면 집중도가 떨어지므로 적절히 시간박스를 지켜야 한다.
- 내부 팀 운영 방식 개선은 이 회의가 아니라 이후의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에서 다룬다.
스프린트 리뷰 vs 스프린트 회고[편집 | 원본 편집]
| 항목 | 스프린트 리뷰 | 스프린트 회고 |
|---|---|---|
| 목적 | 산출물 검토 및 피드백 수집 | 팀의 작업 방식/프로세스 개선 |
| 참가 대상 | 팀 + 이해관계자 | 팀 내부 |
| 주요 질문 | 무엇을 만들었고, 다음은 무엇인가? | 어떻게 일했고, 어떻게 개선할까? |
결론[편집 | 원본 편집]
스프린트 리뷰는 스크럼 프로세스에서 팀과 이해관계자가 함께 완료된 작업을 공유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갈 방향을 협의하는 중요한 피드백 회의이다. 올바르게 운영된다면 제품 개선과 조직 투명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Scrum.org, “What is a Sprint Review?”
- Atlassian, “Sprint Reviews: A Guide for Agile Teams”
- Zoho Sprints, “What is a Sprint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