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암호화 알고리즘
IT 위키
국내외 권고 암호알고리즘[편집 | 원본 편집]
| 분류 | NIST (미국)
(2015) |
CRYPTREC (일본)
(2013) |
ECRYPT (유럽)
(2018) |
국내
(2018) | |
|---|---|---|---|---|---|
|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
|
|
|
| |
| 해시 함수 |
|
|
|
| |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 키 공유용 |
|
|
|
|
| 암복호화용 |
|
|
|
| |
| 전자서명용 |
|
|
|
| |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편집 | 원본 편집]
보안강도에 따른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분류
| 분류 | NIST (미국)
(2015) |
CRYPTREC (일본)
(2013) |
ECRYPT (유럽)
(2018) |
국내
(2018) |
|---|---|---|---|---|
| 112 비트 이상 |
|
|
|
|
| 128 비트 이상 |
|
|
|
|
| 192 비트 이상 |
|
|
|
|
| 256 비트 이상 |
|
|
|
|
해시 함수[편집 | 원본 편집]
해시함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메시지인증/키유도/난수생성용과 단순해시메시지 압축/전자 서명용으로 구분
메시지인증/키유도/난수생성용 해시함수
| 분류 | NIST (미국)
(2015) |
CRYPTREC (일본)
(2013) |
ECRYPT (유럽)
(2018) |
국내
(2018) |
|---|---|---|---|---|
| 112 비트 이상 |
|
|
|
|
| 128 비트 이상 |
|
|
|
|
| 192 비트 이상 |
|
|
|
|
| 256 비트 이상 |
|
|
|
|
단순해시/전자서명용 해시함수[편집 | 원본 편집]
| 분류 | NIST (미국)
(2015) |
CRYPTREC (일본)
(2013) |
ECRYPT (유럽)
(2018) |
국내
(2018) |
|---|---|---|---|---|
| 112 비트 이상 |
|
|
|
|
| 128 비트 이상 |
|
|
|
|
| 192 비트 이상 |
|
|
|
|
| 256 비트 이상 |
|
|
|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편집 | 원본 편집]
| 보안강도 | 인수분해 문제(비트) | 이산대수문제 (비트) | 타원곡선 (비트) | |
|---|---|---|---|---|
| 공개키 | 개인키 | |||
| 112 비트 이상 | 2048 | 2048 | 224 | 224 |
| 128 비트 이상 | 3072 | 3072 | 256 | 256 |
| 192 비트 이상 | 7680 | 7680 | 384 | 384 |
| 256 비트 이상 | 15360 | 15360 | 512 | 512 |
| 분류 | NIST (미국)
(2015) |
CRYPTREC (일본)
(2013) |
ECRYPT (유럽)
(2018) |
국내
(2018) |
|---|---|---|---|---|
| 인수분해 문제 |
|
|
|
|
| 이산대수 문제 |
|
|
|
|
| 타원곡선 |
|
|
|
|
- 암: 메시지 암복호화용
- 전: 전자서명용
- 키: 키 공유용
암호 알고리즘 및 키 길이 선택 기준[편집 | 원본 편집]
보안강도별 암호 알고리즘 비교[편집 | 원본 편집]
| 보안강도 |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보안강도) |
해시함수
(보안강도)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 암호 알고리즘 안정성 유지기간
(년도) | |||
|---|---|---|---|---|---|---|---|
| 인수분해
(비트) |
이산대수 | 타원곡선 암호
(비트) | |||||
| 공개키(비트) | 개인키(비트) | ||||||
| 112비트 | 112 | 112 | 2048 | 2048 | 224 | 224 | 2030년까지 |
| 128비트 | 128 | 128 | 3072 | 3072 | 256 | 256 | 2030년 이후 |
| 192비트 | 192 | 192 | 7680 | 7680 | 384 | 384 | |
| 256비트 | 256 | 256 | 15360 | 15360 | 512 | 512 | |
암호키 사용 유효기간[편집 | 원본 편집]
| 키 종류 | 사용 유효기간 | ||
|---|---|---|---|
| 송신자 사용기간 | 수신자 사용기간 | ||
|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 비밀키 | 최대 2년 | 최대 5년 |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 암호화 공개키 | 최대 2년 | |
| 복호화 개인키 | 최대 2년 | ||
| 검증용 공개키 | 최소 2년 | ||
| 서명용 개인키 | 최대 2년 | ||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암호 알고리즘 및 키 길이 이용 안내서(한국인터넷진흥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