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판장 돌리기
IT 위키
연판장 돌리기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의 동의, 서명, 또는 지지를 받기 위해 문서를 순서대로 돌리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정치적, 사회적 요구나 항의, 청원, 후원, 응원 등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되며, 종이 문서 또는 온라인 서명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하나의 문서를 사람들이 차례로 읽고, 자신의 이름, 소속, 서명 등을 남기는 방식
- 문자 그대로 "판(板)"을 "여럿이 돌려본다"는 의미에서 유래
- 공동의 의견 표현이나 사회적 압력 수단으로 활용됨
2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청원 운동
- 정책 변경, 사법 판결 재검토, 제도 개혁 요구 등
- 항의 성명
- 정부, 기업, 단체에 대한 항의나 반대 의견
- 지지 선언
- 후보자, 예술가, 사회운동 등에 대한 지지 표명
- 기금 마련 또는 후원
- 연대 성격의 기부 요청에 동참 유도
3 현대적 변형[편집 | 원본 편집]
- 온라인 서명 플랫폼 사용 (예: Change.org, 국회 국민동의청원 등)
- 이메일, 메신저, SNS 등을 통한 디지털 연판장
- 구글 폼, 설문지 등을 통한 명단 수집
4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서명자 수가 많을수록 사회적 설득력 상승
- 작성자 없이 연판장만 돌리는 경우 책임 소재가 모호해질 수 있음
- 경우에 따라 강요성이나 군중심리 문제도 발생 가능
5 사회문화적 맥락[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에서는 학교, 군대, 직장 등에서 강제적 연판장이 문제가 된 사례도 존재
- 자발적인 참여보다는 "남들이 하니 나도 해야 한다"는 분위기로 진행되면 집단 동조 현상을 유발할 수 있음
6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7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연판장
- 대한민국 청와대 국민청원 사례 분석 보고서
- Change.org 캠페인 운영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