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인증
IT 위키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CSP) 인증[편집 | 원본 편집]
국내[편집 | 원본 편집]
- 클라우드 보안인증제(CSAP)
- 금융보안원 클라우드 안전성 평가
해외 주요국[편집 | 원본 편집]
| 국가 | 인증명 | 인증기준 | 인증기관 | 평가가관 | 비고 | 
| 미국 | FedRAMP | NST SP 800-53 | FedRAMP PMO (운영사무국) | 공인기관 (총 38개 기관) | -연방 정부에 도입되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국가 인정 공인기관에서 평가 | 
| 일본 | JCISPA | 클라우드 정보보안 기준 | JASA (일본 정보보안감사협회) | JASA (인증심사위원회) |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대상 -민간 협회에서 운영 | 
| ASP, SaaS인증 Iaas, PaaS인증 데이터센터 인증 | 클라우드서비스 안전성에 관한 정보공개지침 | ASPIC (일본 ASP산업협회) | ASPIC (인증심사위원회) | -국가에서 인정한 협회에서 수행 | |
| 싱가포르 | MTCS-SS | ISO/IEC 27001+자체 규정 | ITSC (정보기술 표준위원회) | 공인기관 (총 7개 기관) | -국가 인정 공인기관에서 평가 | 
| 영국 | UK G-Cloud | ISO/IEC 27001+자체 규정 | CESG (국가정보 보증기술국) | - | -국가 인정 공인기관에서 평가 | 
| 호주 | ASD CCSL | ISO/IEC 27001+자체 규정 | ASD (호주 신호국) | IRAP (인증심사위원회) | -독립적 보안 등록 평가자가 수행한 종합적인 평가를 승인 | 
글로벌[편집 | 원본 편집]
- CSA STAR
- 클라우드 보안협회 주도의 ISO 표준 기반의 인증 제도
- 민간 클라우드 인증 중 국제적으로 가장 인정받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