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렌트

IT 위키

Torrent

토렌트는 P2P (Peer-to-Peer)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분산 공유하는 시스템의 프로토콜이자 해당 프로토콜에서 이용하는 파일이다. 중앙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사용자들이 파일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서로 공유하여 다운로드 및 업로드를 수행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토렌트 기술의 역사는 20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인터넷 환경은 여전히 발전 중이었고,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특히, 서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문제는 심각했다. 중앙 서버에서 수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서버는 트래픽 처리 능력을 넘어서게 되고, 속도 저하나 접속 불가 상태가 빈번히 발생했다.

초기 문제와 토렌트 개발의 필요성[편집 | 원본 편집]

기존의 HTTP나 FTP 기반의 파일 전송은 서버가 모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한 서버가 모든 파일 전송의 중심이 되어야 했기 때문에, 서버는 과부하 상태에 자주 빠지게 되었고 서버 유지 비용도 크게 증가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파일을 공유하고, 서버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했다.

Bram Cohen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토렌트(BitTorrent)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비트토렌트는 사용자 간에 파일을 조각내어 전송하고, 각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파일을 곧바로 다른 사용자에게 다시 업로드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다운로드와 업로드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사용자들이 파일을 직접 교환함으로써 서버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식이다. 이 아이디어는 파일을 호스팅하는 중앙 서버 없이도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혁신적이었다.

비트토렌트의 등장과 확산[편집 | 원본 편집]

비트토렌트는 처음 등장했을 때 그 자체로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2003년 이후, 많은 대용량 파일이 인터넷에서 공유되기 시작하면서 비트토렌트의 잠재력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특히, 리눅스 배포판이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같이 큰 용량의 파일을 배포할 때, 서버에 부하를 주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을 받았다.

비트토렌트의 또 다른 확산 계기는, 사용자들 간의 비공식적 콘텐츠 공유였다. 음악, 영화, 소프트웨어 등 대중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가 토렌트를 통해 빠르게 공유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가 급증했다. 이와 함께, 대중은 토렌트의 편리함과 빠른 속도에 매료되었고, 이를 통해 비트토렌트는 빠르게 인기를 끌게 되었다.

토렌트의 대중화[편집 | 원본 편집]

토렌트가 인기를 끌게 된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대용량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능력이다. 중앙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 간 파일 전송을 분산함으로써, 다운로드 속도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크게 향상될 수 있었다. 또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동시에 업로드할 수 있는 점도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2005년, 토렌트는 이미 대중적으로 널리 퍼진 파일 공유 방식이 되었고, 그 해에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는 1억 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이 무렵부터 다양한 토렌트 클라이언트(예: uTorrent, qBittorrent 등)와 트래커(Tracker) 사이트들이 등장하면서 더욱 빠르게 확산되었다. 사용자는 이러한 클라이언트를 통해 간편하게 파일을 공유할 수 있었고, 트래커 사이트는 여러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해 피어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법적 이슈와 토렌트의 변모[편집 | 원본 편집]

그러나 토렌트의 확산과 함께, 불법 콘텐츠 공유와 관련된 법적 이슈도 대두되었다. 많은 사용자가 저작권이 있는 음악, 영화, 게임 등을 불법으로 공유하면서 토렌트의 이미지가 손상되기도 했다. 특히 토렌트로 한번 공유되어 버린 파일은 탈중앙화의 특징으로 인해 네트워크상에서 완전 사라지기 힘드며 확산을 막는 것도 힘들어 기밀 자료나 불법 성인물 유포 등이 토렌트를 통해서 퍼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위키리크스의 줄리안 어산지가 대량의 기밀 자료들을 암호화하여 토렌트를 통해 공유하고 자신의 신변에 위협이 생기면 암호를 공개하겠다고 하여 신변의 안정을 보장받고자 했던 사례는 유명하다.[1]

다만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토렌트 자체는 기술적으로는 합법적인 파일 전송 방식이며, 합법적인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탈중앙성: 전통적인 파일 다운로드 방식과 달리, 파일을 호스팅하는 중앙 서버 없이도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 분산 구조: 파일은 여러 사용자 사이에서 조각 단위로 나뉘어 분산 전송되므로, 특정 사용자가 중단되어도 다른 사용자를 통해 계속 다운로드할 수 있다.
  • 효율성: 대규모 파일도 분산 다운로드되므로 서버 부하가 적고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 업로드와 다운로드 동시 진행: 사용자는 다운로드하는 동안에도 자신이 받은 파일 조각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업로드한다.

토렌트의 구조[편집 | 원본 편집]

  • .torrent 파일: 토렌트 파일에는 다운로드할 파일에 대한 정보(파일 이름, 크기, 해시값 등)와 트래커(Tracker) 서버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트래커 (Tracker): 트래커는 파일을 공유하는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고, 새로운 사용자가 파일을 요청할 때 다른 사용자와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실제 파일 데이터는 트래커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 피어 (Peer):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모든 사용자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피어는 전체 파일을 가진 경우 **시드(Seeder)**라고 부르고, 일부 파일만을 가진 경우 **리처(Leecher)**라고 한다.
  • 조각 (Piece): 다운로드할 파일은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뉘며, 각 조각이 서로 다른 피어로부터 다운로드된다.

토렌트의 동작 구조[편집 | 원본 편집]

  • 토렌트 파일/마그넷 링크: 사용자가 .torrent 파일을 열거나 마그넷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파일을 공유하는 다른 피어들과 연결된다.
  • 트래커와 피어 연결: 트래커 서버를 통해 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다른 피어들과 연결된다. 이때, 트래커는 단순히 피어 목록을 제공하며 파일의 전송은 피어 간에 직접 이루어진다.
  • 파일 조각 다운로드: 파일은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조각들을 다양한 피어로부터 동시에 다운로드한다.
  • 조각 업로드: 사용자가 받은 조각들은 곧바로 다른 피어에게 업로드되기 시작하며, 파일을 모두 받기 전에도 공유가 가능하다.
  • 파일 완성: 모든 조각을 다운로드하면 하나의 완성된 파일이 생성되며, 이후 사용자는 완성된 파일을 시드하며 다른 사용자들에게 계속 업로드할 수 있다.

트래커 vs 트래커리스[편집 | 원본 편집]

트래커(Tracker)는 토렌트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서버로, P2P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사용자들(피어, peer) 간의 연결을 관리한다. 트래커는 실제 파일을 전송하지 않고,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피어 목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트래커의 역할[편집 | 원본 편집]

  1. 피어 간 연결: 사용자가 .torrent 파일을 열면 토렌트 클라이언트가 트래커에 접속해, 같은 파일을 공유하고 있는 다른 피어들의 목록을 요청한다. 트래커는 현재 파일을 공유하고 있는 피어들에 대한 IP 주소 및 포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2. 피어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하는 동안, 클라이언트는 트래커에 정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트래커는 어떤 피어가 연결되어 있고 파일의 어느 부분을 가지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최신 정보를 유지한다.
  3. 파일 공유의 중개자 역할: 트래커는 파일을 전송하거나 저장하지 않지만, 피어들 간에 효율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중개자 역할을 한다. 트래커는 피어 간의 연결을 돕는 정보만 제공하고, 실제 데이터 전송은 피어들 간에 직접 이루어진다.

트래커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1. 공개 트래커 (Public Tracker):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트래커로, 토렌트 파일을 공유하는 모든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다. 공개 트래커는 대규모 사용자 기반을 제공하지만, 속도나 안정성 면에서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2. 개인 트래커 (Private Tracker): 초대받은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는 트래커로, 회원제 기반이다. 보통 업로드/다운로드 비율을 관리해 네트워크의 효율을 높이며, 커뮤니티에 속한 사용자들에게만 파일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트래커가 없는 토렌트[편집 | 원본 편집]

초기에는 트래커가 필수적인 구성이었으나 최근엔 트래커리스(trackerless)로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DHT(Distributed Hash Table) 기술을 사용하여 트래커 없이 피어들 간에 직접 연결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DHT에서는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피어들이 서로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트래커가 중단되거나 사라지더라도 네트워크가 계속 작동할 수 있게 해 준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자료는 탈중앙화 네트워크에 이미 올라갔으므로 아무리 FBI나 CIA라고 해도 배포를 막긴 어렵다. 다만 자료를 가진 사람들은 암호를 모르기 때문에 열어볼 순 없다. 이 상태에서 암호가 웹에 공개되면 해당 기밀 자료들은 전세계에 공개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암호화는 AES-256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AES-256이 현재까지는 안전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인정 받고 있으나 점점 기술이 발전하면서 양자 컴퓨터 등이 등장하면 AES-256도 언젠가는 쉽게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암호학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언급되는 사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