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anTuring의 사용자 기여

IT 위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4월 18일 (금)

  • 12:212025년 4월 18일 (금) 12:21 차이 역사 +2,598 새글 기하 분포새 문서: 기하분포(幾何分布, geometric distribution)는 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성공 확률이 일정한 베르누이 시행을 독립적으로 반복할 때, 최초의 성공이 나타나기까지 시행한 횟수를 확률 변수로 하는 이산 확률 분포이다. ==정의== 기하분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된다. *형식 1 (시행 횟수 기준): 최초의 성공이 나오는 시행의 번호를 확률 변수로 하는 경우 *형식 2 (실패 횟수 기...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4월 16일 (수)

2025년 4월 15일 (화)

2025년 4월 10일 (목)

2025년 4월 7일 (월)

2025년 4월 6일 (일)

  • 15:002025년 4월 6일 (일) 15:00 차이 역사 +2,503 최장 공통 부분 수열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4:302025년 4월 6일 (일) 14:30 차이 역사 +2,849 새글 파이썬 리스트새 문서: 파이썬 리스트(list)는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형 중 하나이다. 리스트는 변경 가능한(mutable) 시퀀스 타입이며, 다양한 자료형을 혼합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인덱스를 통해 요소에 접근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생성== 리스트는 대괄호([]) 또는 list()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syntaxhighlight lang="python"> a = [1, 2, 3] b = list(['apple'...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4:302025년 4월 6일 (일) 14:30 차이 역사 +48 파이썬 반복문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4:292025년 4월 6일 (일) 14:29 차이 역사 +2,733 새글 파이썬 반복문새 문서: 파이썬 반복문은 특정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 흐름을 제공하는 구조로, 대표적으로 for문과 while문이 있다. 반복문은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문자열 등 반복 가능한 객체(iterable)를 순회하거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명령을 반복 실행할 수 있다. ==for 반복문== for문은 시퀀스나 반복 가능한 객체의 항목을 하나씩 꺼내며 반복 수행한다. ===기본... 태그: 시각 편집
  • 14:282025년 4월 6일 (일) 14:28 차이 역사 +2,777 새글 파이썬 리스트 컴프리헨션새 문서: 파이썬 리스트 컴프리헨션(list comprehension)은 리스트를 간결하고 직관적인 문법으로 생성할 수 있는 파이썬의 구문 구조이다. 반복문과 조건문을 한 줄로 표현하여, 기존 리스트로부터 새로운 리스트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개요== 리스트 컴프리헨션은 기존의 리스트나 시퀀스를 기반으로 특정 조건이나 연산을 적용해 새로운 리스트를 만드는 방식이다. 일반...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4월 5일 (토)

2025년 4월 4일 (금)

2025년 4월 3일 (목)

  • 14:242025년 4월 3일 (목) 14:24 차이 역사 +283 스플레이 트리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4:212025년 4월 3일 (목) 14:21 차이 역사 +4,343 스플레이 트리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0:352025년 4월 3일 (목) 10:35 차이 역사 +3,137 새글 분할 상환 분석새 문서: 분할 상환 분석(amortized analysis)은 알고리즘의 연산이 반복될 때, 각 연산의 '''평균적 비용'''을 계산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최악의 경우 시간 복잡도보다 더 현실적인 성능 평가를 제공하며, 연산 간 비용이 불균등한 자료구조에서 특히 유용하다. ==개념== 어떤 자료구조에서 일부 연산은 가끔 매우 높은 비용을 요구할 수 있지만, 전체 연산...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0:332025년 4월 3일 (목) 10:33 차이 역사 +2,538 새글 분할 상환 시간 복잡도새 문서: 분할 상환 시간 복잡도(amortized time complexity)는 일련의 연산 전체에 대한 총 수행 시간을 평균 내어, 각 연산의 평균적 성능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는 '''개별 연산은 비쌀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개념== 어떤 알고리즘이 대부분의 경우 빠르게 동작하지만, 특정 연산에서만 느릴 수 있는 경우, 그 연산 하나...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7:462025년 4월 3일 (목) 07:46 차이 역사 +2,727 새글 스플레이 트리새 문서: 스플레이 트리(splay tree)는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의 일종으로, 자주 접근하는 노드를 루트에 가깝게 이동시켜 전체적인 접근 효율을 높이는 '''자기 조정형(self-adjusting) 트리'''이다. 1985년 Sleator와 Tarj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평균적으로 효율적인 탐색 성능을 보장한다. ==개념== 스플레이 트리는 노드에 접근할 때마다 해당 노드를 루트로 올리는 회전 연산(spl... 태그: 시각 편집
  • 07:452025년 4월 3일 (목) 07:45 차이 역사 +2,960 새글 무작위 BST새 문서: 무작위 BST(randomized binary search tree)는 명시적인 균형 조건 없이 무작위성을 활용하여 평균적으로 균형 잡힌 이진 탐색 트리를 구성하는 자료구조이다. Treap 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무작위성을 도입하여 O(log n) 평균 시간복잡도를 유지한다. ==주요 종류== *Treaps **노드에 무작위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힙 + BST 구조 유지 **삽입, 삭제 연... 태그: 시각 편집
  • 07:282025년 4월 3일 (목) 07:28 차이 역사 +2,648 새글 선형 합동 생성기새 문서: 선형 합동 생성기(linear congruential generator, LCG)는 가장 오래되고 단순한 형태의 의사난수 생성기(pseudorandom number generator)로, 다음과 같은 점화식으로 무작위 수열을 생성한다. ==정의== LCG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따른다: X<sub>n+1</sub> = (aX<sub>n</sub> + c) mod m *X<sub>n</sub>: 현재 상태 (난수) *a: 곱셈 계수 (multiplier) *c: 증가 값 (increment) *m: 모듈로 값 (modulus) *X<sub>0</sub>: 초기값... 최신 태그: 시각 편집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