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트 (기호)
IT 위키
해트 기호는 수학, 통계학, 물리학 등에서 변수의 위에 삽입되어 해당 값이 정규화되었거나 추정되었음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보통 기호 모양은 문자 위에 작은 ^ 모양이 얹힌 형태로 표현되며, 발음은 “해트(hat)”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해트 기호는 특정 기호 위에 씌워지는 윗첨자 형태의 수식 기호로,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정규화(normalization)된 값의 표시: 예) x̂는 정규화된 x
- 추정(estimation)된 값의 표시: 예) θ̂는 추정된 파라미터 θ
- 단위 벡터(unit vector)의 표시: 예) â는 방향이 a와 같은 단위 벡터
해트 기호는 그 자체로 독립된 문자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인쇄나 디지털 수식 처리 시스템에서 윗첨자 형태로 표현된다.
사용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통계학에서 추정량:
- θ̂는 모수 θ의 점 추정값을 의미
- 선형대수에서 단위 벡터:
- î, ĵ, k̂ 등은 각각 x, y, z 방향 단위 벡터를 의미
-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에서 예측값:
- ŷ는 실제 값 y에 대한 모델의 예측값
해트와 캐럿의 구분[편집 | 원본 편집]
해트 기호는 문자 위에 올라가는 수식 표현이며, 일반적인 텍스트에서는 ASCII 문자 `^` (캐럿 기호)로 근사 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두 기호는 형태적으로 유사할 뿐, 기능적으로는 다르다.
- 해트 기호: 윗첨자로 표시되는 수식 기호, 수학적 의미
- 캐럿 기호 (^): 텍스트 기호, 프로그래밍 및 타자에서 사용됨
예: x̂는 수학적으로 해트 기호를 쓴 것이며, "x^"는 이를 단순 텍스트에서 근사한 표현이다.
표현 방식[편집 | 원본 편집]
해트 기호는 다음과 같은 도구 및 문서에서 지원된다:
- TeX/LaTeX: \hat{x}, \hat{\theta} 등
- 수식 편집기: MS Word의 수식 입력, MathML 등
- Unicode 조합 문자: 예) x̂ (U+0302 조합)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Casella, G., & Berger, R. L. (2002). *Statistical Inference* (2nd ed.). Duxbury.
- Strang, G. (2009).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4th ed.). Wellesley-Cambrid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