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N

IT 위키

URN(Uniform Resource Name, 통합 자원 이름)은 인터넷 자원을 위치(location)와 무관하게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URN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한 형태로, 자원의 이름(name)을 통해 식별하며, 반드시 해당 자원의 실제 위치나 접근 방법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개념[편집 | 원본 편집]

URN은 자원의 이름(Name)을 기반으로 식별하며, 특정 시점이나 위치에 독립적으로 자원을 가리킨다. 반면, URL은 자원의 위치(Location)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국제 표준 도서번호(ISBN)는 URN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URN은 특정 책을 전 세계 어디서든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지만, 그 책이 어디에서 접근 가능한지는 나타내지 않는다.

URI와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URN은 URI의 하위 개념 중 하나로, URI는 크게 다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문법[편집 | 원본 편집]

URN의 표준 문법은 다음과 같다:

urn:<namespace identifier>:<namespace-specific string>

  • Namespace Identifier (NID): 이름 공간을 정의 (예: isbn, uuid)
  • Namespace Specific String (NSS): 해당 이름공간 내 고유 식별자

예시: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자원의 영속적인 식별자 역할 수행
  • 자원의 위치와 무관하게 동일한 이름 사용 가능
  • 인터넷을 넘어서도 사용 가능 (예: 도서관, 표준, 생물학 등)

활용[편집 | 원본 편집]

  • 도서관 시스템에서 문헌 식별
  • 표준 문서, 명세서, 규약 등 변경되지 않는 자원의 고유 식별
  • UUID 등 네트워크 상에서의 객체 식별

URN vs URL[편집 | 원본 편집]

구분 URN URL
목적 자원의 이름 식별 자원의 위치 식별
예시 urn:isbn:9783161484100 https://example.com/book.pdf
변동성 위치가 바뀌어도 동일 위치가 바뀌면 URL도 바뀜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RFC 8141 – Uniform Resource Names (URNs)
  • W3C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