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새 문서: 행렬(行列, 영어: Matrix)은 수나 기호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표로, 선형대수학의 기본적인 대상 중 하나이다. 주로 선형 변환을 나타내거나 연립방정식을 다루는 데 사용된다. ==개요== 행렬은 가로 줄을 '''행''', 세로 줄을 '''열'''이라 하며, 특정한 크기(차원)의 수들을 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이다. 행렬의 크기는 행의 수와 열의 수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3행...)
 
(차이 없음)

2025년 9월 25일 (목) 06:48 기준 최신판

행렬(行列, 영어: Matrix)은 수나 기호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표로, 선형대수학의 기본적인 대상 중 하나이다. 주로 선형 변환을 나타내거나 연립방정식을 다루는 데 사용된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행렬은 가로 줄을 , 세로 줄을 이라 하며, 특정한 크기(차원)의 수들을 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이다. 행렬의 크기는 행의 수와 열의 수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3행 2열 행렬은 3×2 행렬이라고 한다.

표기[편집 | 원본 편집]

행렬은 보통 대문자(예: A, B, C)로 나타내며, 원소는 소문자와 인덱스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A의 i행 j열 원소는 a_{ij}로 나타낸다.

연산[편집 | 원본 편집]

  • 덧셈과 뺄셈: 같은 크기의 행렬끼리는 원소별로 더하거나 뺄 수 있다.
  • 스칼라 곱: 행렬의 각 원소에 같은 수(스칼라)를 곱하는 연산이다.
  • 행렬 곱: A가 m×n 행렬이고 B가 n×p 행렬일 때, AB는 m×p 행렬로 정의된다.
  • 전치 행렬: 행과 열을 서로 바꾼 행렬.
  • 역행렬: 정사각 행렬 A에 대해, A와 곱했을 때 단위행렬이 되는 행렬이 존재하면 이를 A의 역행렬이라 한다.
  • 행렬식: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스칼라 값으로, 가역성 및 선형사상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특별한 행렬[편집 | 원본 편집]

  • 단위행렬: 대각 원소가 모두 1이고, 나머지 원소는 0인 정사각 행렬.
  • 영행렬: 모든 원소가 0인 행렬.
  • 대각행렬: 주대각선 이외의 원소가 모두 0인 행렬.
  • 대칭행렬: 전치 행렬과 자기 자신이 같은 정사각 행렬.
  • 직교행렬: 전치 행렬이 역행렬과 같은 행렬.
  • 희소행렬: 대부분의 원소가 0인 행렬.

응용[편집 | 원본 편집]

행렬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선형대수학: 벡터 공간의 선형사상 표현
  • 컴퓨터 그래픽스: 2D, 3D 변환 및 투영
  • 물리학: 양자역학에서의 해밀토니언 표현, 상태 벡터 변환
  • 통계학: 공분산 행렬, 데이터 분석
  • 인공지능: 신경망의 가중치 표현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Roger A. Horn, Charles R. Johnson, Matrix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ilbert Strang,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Brooks Cole.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