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두 판 사이의 차이

IT 위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표준]][[분류:인터넷]]
[[분류:표준]][[분류:인터넷]]
;Uniform Resource Locator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통합 자원 위치자)은 인터넷에서 특정 자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화된 주소 형식이다. 웹 페이지, 이미지, 파일, API 등 인터넷상의 거의 모든 자원은 URL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구성==
URL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프로토콜 (scheme)'''
**해당 자원에 접근할 때 사용할 통신 방식
**예: http, https, ftp, mailto 등


== 표현 ==
*'''호스트 (host)'''
프로토콜://호스트주소:[포트번호]/파일#섹션
**자원이 존재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
**예: www.example.com, 192.168.1.1


== 구성 ==
*'''포트 (port)''' (선택적)
* Protocol
**서버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
* Host
**생략 시 기본 포트 사용 (http는 80, https는 443 등)
* Port
 
* Path
*'''경로 (path)'''
* Query
**서버 내부에서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로
* Reference
**예: /images/photo.jpg
 
*'''쿼리 문자열 (query string)''' (선택적)
**`?` 기호 뒤에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
**예: ?id=123&sort=desc
 
*'''프래그먼트 (fragment)''' (선택적)
**`#` 기호 뒤에 문서 내 특정 위치를 지정
**예: #section2
==예시==
다음은 실제 URL 예시이다:
 
https://www.example.com:443/search?q=url#top
*프로토콜: https
*호스트: www.example.com
*포트: 443
*경로: /search
*쿼리 문자열: q=url
*프래그먼트: top
==특징==
*URL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한 종류이다.
*URL은 자원의 위치(location)를 식별하는 데 초점을 둔다.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공백이나 특수문자는 인코딩되어야 한다 (%20 등)
==관련 용어==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자원의 식별자 전반을 의미하며, URL과 URN을 포함한다
 
*'''URN''' (Uniform Resource Name)
**자원의 이름(name)을 통해 식별하지만, 위치 정보는 포함하지 않음
==활용==
*웹 브라우저 주소창 입력
*하이퍼링크 설정
*API 요청 및 응답
*검색어 전달 및 필터링
==같이 보기==
*[[HTTP]]
*[[URI]]
*[[도메인 이름]]
*[[IP 주소]]
*[[웹 브라우저]]
==참고 문헌==
*Berners-Lee, T., Fielding, R., & Masinter, L. (2005).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 IETF RFC 3986
*W3C. (n.d.). URL Standard. https://url.spec.whatwg.org/

2025년 4월 4일 (금) 01:31 기준 최신판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통합 자원 위치자)은 인터넷에서 특정 자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화된 주소 형식이다. 웹 페이지, 이미지, 파일, API 등 인터넷상의 거의 모든 자원은 URL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1 구성[편집 | 원본 편집]

URL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프로토콜 (scheme)
    • 해당 자원에 접근할 때 사용할 통신 방식
    • 예: http, https, ftp, mailto 등
  • 호스트 (host)
    • 자원이 존재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
    • 예: www.example.com, 192.168.1.1
  • 포트 (port) (선택적)
    • 서버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
    • 생략 시 기본 포트 사용 (http는 80, https는 443 등)
  • 경로 (path)
    • 서버 내부에서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로
    • 예: /images/photo.jpg
  • 쿼리 문자열 (query string) (선택적)
    • `?` 기호 뒤에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
    • 예: ?id=123&sort=desc
  • 프래그먼트 (fragment) (선택적)
    • `#` 기호 뒤에 문서 내 특정 위치를 지정
    • 예: #section2

2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다음은 실제 URL 예시이다:

https://www.example.com:443/search?q=url#top

  • 프로토콜: https
  • 호스트: www.example.com
  • 포트: 443
  • 경로: /search
  • 쿼리 문자열: q=url
  • 프래그먼트: top

3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URL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한 종류이다.
  • URL은 자원의 위치(location)를 식별하는 데 초점을 둔다.
  •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공백이나 특수문자는 인코딩되어야 한다 (%20 등)

4 관련 용어[편집 | 원본 편집]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자원의 식별자 전반을 의미하며, URL과 URN을 포함한다
  • URN (Uniform Resource Name)
    • 자원의 이름(name)을 통해 식별하지만, 위치 정보는 포함하지 않음

5 활용[편집 | 원본 편집]

  • 웹 브라우저 주소창 입력
  • 하이퍼링크 설정
  • API 요청 및 응답
  • 검색어 전달 및 필터링

6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7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Berners-Lee, T., Fielding, R., & Masinter, L. (2005).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 IETF RFC 3986
  • W3C. (n.d.). URL Standard. https://url.spec.whatwg.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