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이름

IT 위키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인터넷에서 특정 컴퓨터나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사람 친화적인 주소 체계이다. 도메인 이름은 숫자로 된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기억하기 쉽고 접근하기 쉬운 방식으로 자원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도메인 이름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점(.)으로 구분된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

  • com: 최상위 도메인(TLD, Top-Level Domain)
  • example: 2차 도메인 (Second-Level Domain)
  • www: 서브도메인 (Subdomain)

2 구조[편집 | 원본 편집]

도메인 이름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 루트 도메인 (.)
    • 생략되지만 항상 존재하며, 최상위 도메인의 부모
  • 최상위 도메인 (TLD)
    • 일반 TLD: .com, .net, .org
    • 국가 코드 TLD: .kr, .jp, .us
  • 2차 도메인
    • 조직이나 기업이 등록하는 이름 (예: google, naver)
  • 서브도메인
    • 서비스 또는 서버 단위를 나누는 용도 (예: mail.naver.com)

3 DNS와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 도메인 이름은 DNS(Domain Name System)를 통해 대응되는 IP 주소로 변환된다.
  •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으로 접근하고, 내부적으로는 IP 주소를 통해 통신이 이뤄진다.

4 등록과 관리[편집 | 원본 편집]

  • 도메인 이름은 각국의 도메인 등록기관 또는 국제 등록기관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 ICANN(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기구)이 최상위 도메인을 총괄하며, 각국 또는 기관이 하위 도메인 관리를 담당한다.

5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숫자 대신 문자열로 주소를 표현 → 기억하기 쉬움
  • 중복 불가: 전 세계에서 하나의 고유한 도메인만 존재 가능
  • 계층적 관리 구조로 확장 가능

6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www.wikipedia.org
  • mail.google.com
  • cs.stanford.edu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8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Mockapetris, P. (1987). RFC 1034 - Domain Names - Concepts and Facilities
  • ICANN. (n.d.). Domain Name System Overview. https://www.ican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