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anTuring의 사용자 기여
IT 위키
AlanTuring의 기여 토론 차단 기록 올린 파일 기록
2025년 5월 11일 (일)
2025년 5월 10일 (토)
- 15:192025년 5월 10일 (토) 15:19 차이 역사 +4,050 새글 동적 연결성  새 문서: 동적 연결성(dynamic connectivity)은 그래프 이론에서 시간에 따라 간선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그래프 상에서 임의의 두 정점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효율적으로 판단하는 문제를 의미한다. ==개요== 정적인 그래프에서의 연결성 판단은 DFS나 BFS를 통해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지만, 그래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는 매번 전체 탐색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5:182025년 5월 10일 (토) 15:18 차이 역사 +3,175 새글 서로소 집합  새 문서: 서로소 집합(disjoint-set, 또는 disjoint-set data structure, disjoint-set forest)은 원소들이 겹치지 않는 여러 개의 집합으로 나뉘어 있을 때, 각 원소가 어떤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효율적으로 판별하고, 두 집합을 하나로 합치는 연산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구조이다. ==개요== 서로소 집합 자료구조는 주로 집합 간의 결합(union)과 원소가 속한 집합의 대표 원소를...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5:162025년 5월 10일 (토) 15:16 차이 역사 +3,601 새글 계산기하학  새 문서: 계산기하학(Computational geometry, 計算幾何學)은 컴퓨터 과학과 수학의 한 분야로, 기하학적 문제를 알고리즘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개요== 계산기하학은 1970년대 컴퓨터 그래픽스, CAD(Computer-Aided Design), 로보틱스 등의 발전과 함께 독립된 학문 분야로 형성되었다. 이 분야는 주어진 점, 선분, 다각형 등의 기하학적 객체에 대해 다양한 계산 문제를 해결하...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4:592025년 5월 10일 (토) 14:59 차이 역사 +3 볼록 껍질 (알고리즘)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4:582025년 5월 10일 (토) 14:58 차이 역사 +1,153 볼록 껍질 (알고리즘)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4:522025년 5월 10일 (토) 14:52 차이 역사 +106 볼록 껍질 (알고리즘)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4:342025년 5월 10일 (토) 14:34 차이 역사 +46 새글 볼록 껍질  볼록 껍질 (알고리즘)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14:162025년 5월 10일 (토) 14:16 차이 역사 +37 새글 그레함 스캔  그레이엄 스캔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14:152025년 5월 10일 (토) 14:15 차이 역사 +37 새글 그래함 스캔  그레이엄 스캔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14:022025년 5월 10일 (토) 14:02 차이 역사 +3,384 새글 이진 카운터  새 문서: 이진 카운터(binary counter)는 이진수 표현을 이용하여 정수 값을 하나씩 증가시키는 계산 장치 또는 알고리즘적 구조이다. ==개요== 이진 카운터는 0과 1의 이진수 형식으로 정수를 표현하며, 각 증가 연산 시 비트를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올려가며 반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일반적인 이진 덧셈 규칙을 따르며, 하드웨어 회로 또는 알고리즘의 일부로 자주 사용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3:292025년 5월 10일 (토) 13:29 차이 역사 +4,520 새글 스킵리스트  새 문서: 스킵리스트(skip list)는 정렬된 요소들의 리스트에서 효율적인 탐색, 삽입, 삭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러 개의 레벨을 도입한 확률 기반의 자료구조이다. ==개요== 스킵리스트는 1990년 William Pugh가 제안한 자료구조로, 균형 이진 탐색 트리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구현이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각 요소는 여러 레벨의 연결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으며, 레벨이...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3:112025년 5월 10일 (토) 13:11 차이 역사 +48 새글 랜덤 BST  무작위 이진 탐색 트리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09:112025년 5월 10일 (토) 09:11 차이 역사 +42 의사 난수 생성기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9:112025년 5월 10일 (토) 09:11 차이 역사 +2,980 새글 의사 난수 생성기  새 문서: 의사난수 생성기(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擬似亂數生成器)는 실제로는 완전히 무작위가 아니지만 통계적으로 무작위성과 유사한 수열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 개요 == 의사난수 생성기는 컴퓨터 과학, 암호학, 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실제 난수(random number) 생성은 물리적 무작위성을 필요로 하지만, 의사난수는 수학적 알고리즘에 기반해 일정한...
- 05:332025년 5월 10일 (토) 05:33 차이 역사 +35 정렬 거리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05:322025년 5월 10일 (토) 05:32 차이 역사 −1 정렬 거리 편집 요약 없음
- 05:322025년 5월 10일 (토) 05:32 차이 역사 +2,579 정렬 거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5월 9일 (금)
- 13:532025년 5월 9일 (금) 13:53 차이 역사 +5,796 정렬 거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07:142025년 5월 9일 (금) 07:14 차이 역사 −3,372 토론:대문  내용을 "메인에 알고리즘 분류를 추가해주세요."(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 07:132025년 5월 9일 (금) 07:13 차이 역사 +28 삼각 분할 (동적 계획법)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7:052025년 5월 9일 (금) 07:05 차이 역사 +1,243 삼각 분할 (동적 계획법)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5월 8일 (목)
- 13:512025년 5월 8일 (목) 13:51 차이 역사 +52 정렬 거리 매트릭스 포함 소스코드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3:512025년 5월 8일 (목) 13:51 차이 역사 +2,072 새글 정렬 거리 매트릭스 포함 소스코드  새 문서: * 상위 문서: 정렬 거리 == 소스 코드 (python) == <syntaxhighlight lang="python3"> import numpy as np def alignment_distance(X, Y, delta_eq=-1, delta_neq=1, delta_gap=2): m, n = len(X), len(Y) dp = np.zeros((m + 1, n + 1), dtype=int) traceback = [[None]*(n + 1) for _ in range(m + 1)] # 초기화 for i in range(1, m + 1): dp[i][0] = i * delta_gap traceback[i][0] = (i-1, 0) for j in range(1, n + 1): dp[0][j] = j * de...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13:422025년 5월 8일 (목) 13:42 차이 역사 +3,558 새글 정렬 거리  새 문서: 정렬 거리(영어: Alignment distance)는 두 문자열 또는 서열(sequence) 간의 정렬을 통해 측정되는 유사도 척도로, 두 서열을 최적으로 정렬했을 때 발생하는 불일치의 총 비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생물정보학에서 서열 정렬(sequence alignment)을 위한 거리 측정 지표로 사용된다. ==개요== 정렬 거리는 두 문자열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리 기반 지표... 태그: 시각 편집
- 13:362025년 5월 8일 (목) 13:36 차이 역사 +5,261 새글 레벤슈타인 거리 단계별 추적 소스코드  새 문서: * 상위 문서: 레벤슈타인 거리 == 소스 코드 (python) == <syntaxhighlight lang="python3"> def print_matrix(matrix, X, Y): print(" " + " ".join(" " + c for c in Y)) for i, row in enumerate(matrix): prefix = " " if i == 0 else X[i - 1] print(prefix + " " + " ".join(f"{cell:2}" for cell in row)) print("\n") def edit_distance(X, Y): m, n = len(X), len(Y) dp = [[0] * (n + 1) for _ in range(m + 1)] # 초기화 for...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3:342025년 5월 8일 (목) 13:34 차이 역사 +182 레벤슈타인 거리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3:272025년 5월 8일 (목) 13:27 차이 역사 +1,432 레벤슈타인 거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3:182025년 5월 8일 (목) 13:18 차이 역사 +3,132 새글 레벤슈타인 거리  새 문서: '''레벤슈타인 거리(영어: Levenshtein distance)'''는 두 문자열 사이의 최소 편집 거리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하나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삽입, 삭제, 치환 연산의 최소 횟수를 의미한다. '''편집 거리(edit distance)'''라고도 불린다. ==개요== 레벤슈타인 거리는 1965년 러시아의 과학자 블라디미르 레벤슈타인(Vladimir Levenshtein)이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태그: 시각 편집
- 13:172025년 5월 8일 (목) 13:17 차이 역사 +28 최장 공통 부분 수열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3:142025년 5월 8일 (목) 13:14 차이 역사 +2,124 최장 공통 부분 수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2:192025년 5월 8일 (목) 12:19 차이 역사 +41 최장 공통 부분 수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2:142025년 5월 8일 (목) 12:14 차이 역사 +45 새글 최장 공통 수열  최장 공통 부분 수열 문서로 넘겨주기 최신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07:262025년 5월 8일 (목) 07:26 차이 역사 +76 새글 파일:볼록 다각형 삼각 분.png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7:252025년 5월 8일 (목) 07:25 차이 역사 +48 새글 파일:오각형 삼각 분할.png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7:192025년 5월 8일 (목) 07:19 차이 역사 +81 새글 파일:다각형의 삼각 분할.png 편집 요약 없음 최신
2025년 5월 3일 (토)
- 08:522025년 5월 3일 (토) 08:52 차이 역사 +1,894 새글 유한체 (수학)  새 문서: '''유한체'''(有限體, finite field)는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체(field)이다. 모든 체 중에서 유한한 크기를 가진 특별한 경우로, ''갈루아 체''(Galois Field)라고도 불리며, GF(q)로 표기된다. 여기서 q는 체의 원소 개수를 나타낸다. ==정의== 유한체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다. *유한한 개수의 원소를 가진다. (즉, 집합의 크기가 유한하다.) *체의 정의를 만족한다: **...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8:512025년 5월 3일 (토) 08:51 차이 역사 +2,342 새글 대수 (수학)  새 문서: '''대수'''(代數, algebra)는 수와 기호를 이용하여 수학적인 구조, 관계, 연산을 표현하고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초등 수준의 문자 대수에서부터, 집합과 연산을 기반으로 한 추상대수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개요== 대수는 수학적 대상을 기호로 표현하고, 그 연산 규칙을 정의함으로써 일반적인 수학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방법론이다...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8:502025년 5월 3일 (토) 08:50 차이 역사 +2,241 새글 군 (수학)  새 문서: '''군'''(群, group)은 하나의 이항 연산이 정의된 집합으로, 그 연산이 일정한 성질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다.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추상대수학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이다. ==정의== 집합 G와 이항 연산 * 가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G, *)를 '''군(group)'''이라고 한다. ===1. 닫힘성=== *모든 a, b ∈ G에 대해 a * b ∈ G ===2. 결합법칙=== *(a * b) * c = a * (b *...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8:492025년 5월 3일 (토) 08:49 차이 역사 +2,222 새글 체 (수학)  새 문서: '''체'''(體, field)는 덧셈과 곱셈 두 연산이 정의되어 있으며, 이 연산들에 대해 대부분의 대수적 성질이 성립하는 대수 구조이다. 체는 실수, 유리수, 복소수 등의 수 체계를 추상화한 개념으로, 대수학, 수론,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정의== 집합 F에 대해 덧셈(+)과 곱셈(*) 두 연산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F, +, *)는 체(field)라 한다. ===1. (F...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8:482025년 5월 3일 (토) 08:48 차이 역사 +2,493 새글 환 (수학)  새 문서: '''환'''(環, ring)은 두 개의 이항 연산(덧셈과 곱셈)이 정의되어 있는 대수 구조로, 정수의 성질을 일반화한 개념이다. 환은 군, 체 등의 개념과 함께 추상대수학에서 기본적인 구조로 다루어진다. ==정의== 집합 R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R, +, *)는 환(ring)이라고 한다. ===1. (R, +)는 아벨 군=== *덧셈 + 에 대해 닫힘성,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0이라는 항등원이 존재하...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202025년 5월 3일 (토) 00:20 차이 역사 +3,219 새글 유니온 파인드 경로 분할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경로 분할(Union-Find with Path Splitting)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Find 연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경로 압축 기법 중 하나로, 루트 노드를 찾는 동안 경로 상의 각 노드를 그 부모의 부모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개요== 경로 분할(path splitting)은 유니온 파인드에서 트리의 깊이를 줄이고 Find 연산을 빠르게 만들기 위한 최적화 기법이다. 경로 압축(path compress...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062025년 5월 3일 (토) 00:06 차이 역사 +3,349 새글 유니온 파인드 크기 기반 병합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크기 기반 병합(Union-Find with Union by Size)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두 집합을 병합할 때 각 집합의 원소 수를 기준으로 병합 방향을 결정하여 트리의 깊이를 최소화하는 최적화 기법이다. ==개요== 크기 기반 병합은 유니온 파인드(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에서 병합 연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각 집합의 트리 구조가 지나치게 비대해지는...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052025년 5월 3일 (토) 00:05 차이 역사 +3,293 새글 유니온 파인드 경로 압축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경로 압축(Union-Find with Path Compression)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Find 연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로상의 노드들을 직접 루트 노드에 연결하는 최적화 기법이다. ==개요== 경로 압축은 유니온 파인드 자료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최적화 기법 중 하나로, Find 연산을 수행할 때 탐색 경로에 있는 모든 노드를 해당 집합의 루트 노드에 직접 연결함으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00:032025년 5월 3일 (토) 00:03 차이 역사 +49 유니온 파인드 랭크 기반 병합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5월 2일 (금)
- 23:362025년 5월 2일 (금) 23:36 차이 역사 +3,665 새글 유니온 파인드 랭크 기반 병합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랭크 기반 병합(Union-Find with Union by Rank)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두 집합을 병합할 때 트리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기법이다. ==개요== 랭크 기반 병합은 유니온 파인드(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의 핵심 최적화 기법 중 하나로, 집합 병합 시 트리 구조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집합은 트리 형태로 표현되며, 트리의...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5월 1일 (목)
- 12:532025년 5월 1일 (목) 12:53 차이 역사 +2,432 새글 유니온 파인드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Union-Find, 병합-찾기 자료구조)는 상호 배타적 집합(disjoint-set)들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조작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개요== 유니온 파인드는 원소들이 어떤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빠르게 판별하고, 두 집합을 병합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데 최적화된 자료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disjoint-set data structure)로 불리며, 대표적으로...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2:132025년 5월 1일 (목) 12:13 차이 역사 +2,419 새글 에츠허르 다익스트라  새 문서: 에르허츠 다익스트라(Edsger Wybe Dijkstra, 荷兰语: Edsger Wybe Dijkstra)는 컴퓨터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네덜란드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생애== 에르허츠 다익스트라는 1930년 5월 11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 라이덴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였다. 1959년 네덜란드 에인트... 최신 태그: 시각 편집
- 12:012025년 5월 1일 (목) 12:01 차이 역사 +461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4월 30일 (수)
- 23:182025년 4월 30일 (수) 23:18 차이 역사 +2,342 새글 곱셈 역원  새 문서: '''곱셈 역원'''(乘法逆元, multiplicative inverse)은 어떤 수에 대해 곱했을 때 1이 되는 수를 말한다. 주로 모듈로 연산(modular arithmetic)에서 사용되며, 나눗셈을 곱셈으로 바꾸기 위해 활용된다. ==개요== 정수 a에 대해 어떤 수 x가 존재해서 다음을 만족하면, x는 a의 곱셈 역원이다. a * x ≡ 1 (mod m) 여기서 ≡ 기호는 "동치(congruence)"를 의미하며, a * x를 m으로 나눈 나머지가 1... 최신 태그: 시각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