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UID

IT 위키
정처없는기사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4월 4일 (금) 01:44 판 (새 문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이다. 일반적으로 128비트 길이의 수로 구성되며, 시스템 간 충돌 없이 자원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UUID는 네트워크 상의 객체, 파일, 세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형식== UUID는 128비트(16바이트)의 이진 데이터를 32자리의 16진수로 표현하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이다. 일반적으로 128비트 길이의 수로 구성되며, 시스템 간 충돌 없이 자원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UUID는 네트워크 상의 객체, 파일, 세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1 형식[편집 | 원본 편집]

UUID는 128비트(16바이트)의 이진 데이터를 32자리의 16진수로 표현하며, 일반적으로 하이픈(-)으로 구분된 5개의 그룹으로 표시된다:

xxxxxxxx-xxxx-Mxxx-Nxxx-xxxxxxxxxxxx

  • M: UUID 버전 (Version 1~5 중 하나)
  • N: 변형 정보 (Variant)

예시:

  • 550e8400-e29b-41d4-a716-446655440000

2 버전[편집 | 원본 편집]

UUID는 생성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버전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버전 1 (시간 기반)
    • 현재 시각과 노드 식별자(MAC 주소 등)를 조합
    • 고유성이 보장되지만 개인 정보 노출 가능성 존재
  • 버전 3 (이름 기반, MD5 해시)
    • 네임스페이스 + 이름 → MD5 해시로 UUID 생성
    • 동일한 입력 → 동일한 UUID
  • 버전 4 (무작위 기반)
    • 난수를 기반으로 생성
    • 충돌 확률이 매우 낮아 가장 널리 사용됨
  • 버전 5 (이름 기반, SHA-1 해시)
    • 버전 3과 유사하나 SHA-1 해시 사용

3 활용[편집 | 원본 편집]

4 UUID vs GUID[편집 | 원본 편집]

  •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는 Microsoft에서 사용되는 UUID의 다른 명칭
  • 대부분의 상황에서 UUID와 GUID는 같은 개념으로 간주됨

5 파이썬 예시[편집 | 원본 편집]

import uuid

print(uuid.uuid4())  # 무작위 기반 UUID (버전 4)
print(uuid.uuid1())  # 시간 기반 UUID (버전 1)

6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7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