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 소거법
IT 위키
인공무능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10월 15일 (수) 01:04 판 (새 문서: 가우스 소거법(독일어: Gaußsches Eliminationsverfahren, 영어: Gaussian elimination)은 연립방정식 해법, 행렬의 기저 및 랭크 계산 등에 사용되는 선형대수학의 기초적인 알고리즘으로, 행 연산을 통해 행렬을 계단형으로 바꾸는 절차이다. ==정의== 가우스 소거법은 행렬에 다음과 같은 기본 행 연산을 반복 적용하여 계단형(row echelon form) 또는 기약 계단형(reduced row echelon form, RRE...)
가우스 소거법(독일어: Gaußsches Eliminationsverfahren, 영어: Gaussian elimination)은 연립방정식 해법, 행렬의 기저 및 랭크 계산 등에 사용되는 선형대수학의 기초적인 알고리즘으로, 행 연산을 통해 행렬을 계단형으로 바꾸는 절차이다.
정의[편집 | 원본 편집]
가우스 소거법은 행렬에 다음과 같은 기본 행 연산을 반복 적용하여 계단형(row echelon form) 또는 기약 계단형(reduced row echelon form, RREF)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 한 행에 0이 아닌 상수를 곱한다.
- 한 행에 다른 행의 배수를 더하거나 뺀다.
- 행의 위치를 서로 바꾼다.
이 과정을 통해 연립선형방정식을 간단한 형태로 변환하고, 해의 존재 여부 및 해를 직접 구할 수 있다.
단계[편집 | 원본 편집]
- 1단계: 맨 왼쪽 열에서 첫 번째 0이 아닌 원소(피벗)를 찾고, 해당 행을 위로 올린다.
- 2단계: 피벗 아래의 모든 원소를 0으로 만들기 위해 적절한 행 연산을 수행한다.
- 3단계: 다음 열로 이동하여 반복한다.
- 4단계: (선택적으로) 각 피벗을 1로 만들고, 피벗 위의 원소도 0으로 만드는 과정을 거치면 기약 계단형이 된다.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연립일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 행렬의 랭크 계산
- 선형 독립성 판별
- 열공간/행공간의 기저 추출
- 역행렬 계산 (단, 가역 행렬에 한함)
- 벡터 공간의 차원 계산
예시[편집 | 원본 편집]
다음은 연립방정식 \[ \begin{cases} x + 2y + z = 6 \\ 2x + 5y + z = 13 \\ 4x + 10y + 3z = 28 \end{cases} \] 을 가우스 소거법으로 푸는 과정이다:
- 계수 행렬을 확장 행렬로 나타냄:
\[ \begin{bmatrix} 1 & 2 & 1 & \vert & 6 \\ 2 & 5 & 1 & \vert & 13 \\ 4 & 10 & 3 & \vert & 28 \end{bmatrix} \]
- 1행을 기준으로 아래 행들에 적절한 배수를 빼서 첫 번째 열 소거
- 다시 2행을 기준으로 3행 소거
- 최종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다시 위로 피벗 정리하여 기약 계단형으로 만들고 해를 추론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