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IT 위키
인터넷(internet)은 전 세계의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전 지구적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다양한 프로토콜과 기술을 바탕으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교환된다.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인터넷은 Interconnected Network의 줄임말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의 집합이다.
- IP 주소, 도메인 이름, URL, HTTP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 모든 장치는 고유한 주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라우팅을 통해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달한다.
2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분산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특정 중앙 서버에 의존하지 않음
- 전 세계 어디서든 접속 가능 (물리적/무선 네트워크 기반)
- 다양한 서비스 제공: 웹, 이메일, 메신저, 스트리밍, 클라우드 등
- TCP/IP 프로토콜 스택 위에서 다양한 응용 계층이 작동함
3 주요 구성 요소[편집 | 원본 편집]
- 클라이언트와 서버
- 클라이언트: 사용자 디바이스 (브라우저, 앱 등)
- 서버: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제공
- 라우터와 스위치
- 네트워크 경로 지정 및 데이터 패킷 전달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사업자
4 인터넷의 주요 서비스[편집 | 원본 편집]
- 웹(월드 와이드 웹)
- 이메일
- 파일 전송 (FTP, P2P)
- 원격 접속 (SSH, Telnet)
- 음성/영상 통신 (VoIP, 스트리밍)
- 클라우드 컴퓨팅
5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69년: ARPANET – 미국 국방부 프로젝트로 시작
- 1980년대: TCP/IP 도입, 네트워크 확장
- 1990년대: 웹 브라우저 보급 → 일반 대중에게 확산
- 2000년대 이후: 모바일, IoT, 클라우드, AI 등과 융합
6 인터넷 vs 웹[편집 | 원본 편집]
- 인터넷은 물리적·논리적 통신망 전체
- 웹은 그 위에서 동작하는 하이퍼텍스트 기반 정보 서비스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8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Leiner, B. M. et al. (2009). A Brief History of the Internet. ACM SIGCOMM
- RFC 1180 – A TCP/IP Tutorial
- Kurose, J. F., & Ross, K. W. (2020).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