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성

IT 위키

상사성(相似性, analogy)은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진 구조나 특성이 진화적으로 유사한 기능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현상을 의미한다.

개념[편집 | 원본 편집]

상사성은 주로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유기체들이 공통 조상 없이도 유사한 환경적 압력이나 선택 요인에 의해 비슷한 형태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상사적 구조는 수렴 진화(convergent evolution)의 결과로 나타난다. 상사성은 상동성과는 달리 진화적 기원보다는 기능적 유사성에 초점을 둔다.

생물학에서의 상사성[편집 | 원본 편집]

생물학에서는 상사 구조(analogous structures)로 나타난다. 이는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는 생물들 사이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리킨다.

예시:

  • 박쥐의 날개와 곤충의 날개는 모두 비행 기능을 하지만, 그 해부학적 기원은 전혀 다르며 상사 구조이다.
  • 상어의 지느러미와 돌고래의 지느러미도 유사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지만, 각각 어류와 포유류로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상사성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진화적 맥락[편집 | 원본 편집]

상사성은 진화의 반복성과 환경의 선택 압력이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에 유사한 해결책을 강요할 때 나타난다. 이는 적응 진화의 중요한 예시로, 서로 다른 생물이 유사한 생태적 지위(niche)를 차지할 때 수렴 진화의 결과로 자주 나타난다.

비교: 상동성과의 차이[편집 | 원본 편집]

상동성은 구조나 유전자의 공통 조상으로부터의 유래를 기반으로 하나, 상사성은 유사한 기능이나 형태를 기준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진화적 기원이 다르면 상사성으로 본다.

다른 분야에서의 상사성[편집 | 원본 편집]

  • 인지과학 및 심리학: 상사성은 유사한 자극이나 개념 사이의 연관을 형성하는 데 핵심 개념이다. 예를 들어, 유추적 추론에서 두 개념 간 상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추론한다.
  • 언어학: 형태소나 단어의 의미적 유사성을 분석할 때 상사성이 논의된다.
  • 공학 및 디자인: 생체모방공학에서 자연의 구조와 유사한 인공 시스템을 설계할 때 상사성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Conway Morris, S. (2003). Life's Solution: Inevitable Humans in a Lonely Unive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osos, J. B. (2011). Convergence, adaptation, and constraint. Evolution, 65(7), 1827–1840.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