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곡선

IT 위키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은 동일한 신용 등급을 가진 채권의 만기별 이자율(수익률)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곡선이다. 일반적으로는 국채(특히 무위험 채권)를 기준으로 작성되며, 금리 만기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구이다.

수익률 곡선 예시

1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x축: 채권의 만기(Maturity)
  • y축: 해당 만기 채권의 수익률(Yield)
  • 수익률 곡선은 특정 시점에서 다양한 만기의 채권 수익률을 연결한 선

2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명목 수익률 곡선 (Nominal Yield Curve)
    • 시장에서 직접 관찰 가능한 이자율로 구성된 곡선
  • 현물이자율 곡선 (Spot Rate Curve)
    • 각 만기의 무위험 채권에서 파생된 제로쿠폰 수익률 곡선
  • 순수 기대 수익률 곡선 (Forward Rate Curve)
    • 미래의 단기 수익률에 대한 기대를 반영

3 형태 유형[편집 | 원본 편집]

  • 우상향 곡선 (정상 구조, Upward Sloping)
    • 일반적인 형태
    • 장기 채권일수록 수익률이 높음 → 유동성 프리미엄, 기대 인플레이션 등 반영
  • 우하향 곡선 (역전 구조, Inverted)
    • 단기 수익률이 장기 수익률보다 높음
    • 경기 침체에 대한 시장의 기대 반영
  • 평탄 곡선 (Flat)
    • 모든 만기 수익률이 비슷 → 시장의 불확실성 반영
  • 볼록/오목 곡선 (Humped)
    • 중간 만기에서 수익률이 가장 높음 → 수요 공급 요인, 특수한 기대 반영

4 작성 방법[편집 | 원본 편집]

5 해석[편집 | 원본 편집]

  • 곡선이 우상향일수록 향후 금리 상승 또는 경제 성장 기대
  • 곡선이 역전되면 향후 경기 둔화 또는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 통화정책, 인플레이션 기대, 투자자의 리스크 프리미엄 요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

6 활용[편집 | 원본 편집]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8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Fabozzi, F. J. (2015). Bond Markets, Analysis and Strategies. Pearson
  • Mishkin, F. S. (2018). The Economics of Money, Banking and Financial Markets
  • Hull, J. C. (2018). Options, Futures, and Other Deriv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