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IT 위키

해당 문서에 연결된 문서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려면 문서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분류에 들어있는 문서를 보려면 분류:분류명으로 입력하십시오). 내 주시문서 목록에 있는 문서의 변경사항은 굵게 나타납니다.

최근 바뀜 설정 최근 1 | 3 | 7 | 14 | 30일간의 50 | 100 | 250 | 500개 바뀐 문서 보기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익명 사용자를 숨기기 | 내 편집 숨기기 | 보이기 | 사소한 편집 숨기기
2025년 11월 20일 (목) 02:31부터 시작하는 새로 바뀐 문서 보기
   
문서 이름:
약어 목록:
새글
새 문서 (새 문서 목록도 보세요)
잔글
사소한 편집
봇이 수행한 편집
(±123)
바이트 수로 표현한 문서 크기의 차이

2025년 11월 20일 (목)

새글    01:57  딥 러닝 프레임워크 차이역사 +4,136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딥 러닝 프레임워크(Deep Learning Frameworks)'''는 인공 신경망 모델을 정의하고 학습하며 배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와 라이브러리의 집합이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자동 미분(autograd), 텐서 연산, GPU 가속, 모델 구조화,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성 등 복잡한 과정을 추상화하여 연구자와 개발자가 효율적으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딥러닝 프레임...)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11월 13일 (목)

새글    08:51  MoDNN 차이역사 +3,739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MoDNN(Mobile Distributed Deep Neural Network, 2017년)은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산 자원을 결합하여 하나의 딥러닝 모델을 분산 추론하도록 설계된 기법이다. 단일 스마트폰이나 IoT 기기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신경망 연산을 여러 노드가 협력하여 나누어 수행함으로써 추론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MoDNN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서로 연결된 환경에서,...)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15  ADCNN 차이역사 +3,581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ADCNN(Adaptive Distribu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020년)은 여러 엣지(edge) 디바이스에 신경망의 연산을 적응적으로 분산시켜 추론 지연(latency)과 통신량을 줄이기 위한 딥러닝 분산추론(distributed inference) 기법이다. ==개요== ADCNN은 딥러닝 추론을 위해 하나의 중앙 서버나 클라우드에 모든 연산을 맡기는 대신, 여러 엣지 디바이스 클러스터에 연산을 적절히 분할해서 배치함...)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09  DDNN (신경망, 2017년) 차이역사 +3,667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DDNN(Distributed Deep Neural Network, 2017년)은 단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신경망을 클라우드, 엣지, 디바이스 계층에 분산하여 협력적으로 추론을 수행하는 구조로, 입력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로컬 또는 클라우드에서 단계적으로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지연(latency)과 통신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DDNN은 분산 환경에서 신경망 일부를 로컬 디바이스에 배치하...)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7:48  브랜치넷 차이역사 +3,268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BranchyNet(브랜치넷)은 신경망의 중간 계층에 여러 개의 조기 종료 지점(exit branch)을 추가하여, 입력 데이터의 난이도에 따라 계산량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신경망 구조이다. 이를 통해 쉬운 입력은 빠르게 처리하고, 어려운 입력만 전체 모델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추론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개요== BranchyNet은 입력 샘플의 난이도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6:30  GPipe 차이역사 +4,637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섬네일|Bubble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GPipe(지파이프, 영어: GPipe)는 대규모 신경망 모델을 여러 장치에 나누어 학습시키기 위해 제안된 파이프라인 병렬(pipeline parallelism) 기법으로, 마이크로배치를 활용해 파이프라인의 유휴 시간(bubble)을 줄이고 장치 활용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GPipe는 모델을 여러 스테이지(stage)로 분...)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6:25  파이프드림 차이역사 +4,165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섬네일|파이프드림 사용 전의 학습 순서 섬네일|파이프드림 사용 시 학습 파이프드림(PipeDream)은 대규모 신경망 모델을 여러 장치에 나누어 학습하는 파이프라인 병렬(pipeline parallelism) 방식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분산 학습 기법이다. 특히 순전파와 역전파의 파이프라인 스케...)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6:04  신경망 분산 학습‎‎ 2개 바뀜 역사 +8,102 [인공무능‎ (2×)]
     
06:04 (최신 | 이전) +70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6:02 (최신 | 이전) +8,032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신경망 분산 학습(영어: distributed training of neural networks)은 인공신경망 모델을 여러 컴퓨팅 노드(예: GPU, 서버)에 분산시켜 동시에 학습함으로써 학습 속도를 높이고 더 큰 모델과 데이터셋을 다루기 위한 기술이다. ==개요== 신경망 분산 학습은 단일 장치의 메모리와 연산 능력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대규모 데이터셋과 딥러닝 모델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등장하...)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52  링 올 리듀스 차이역사 +3,998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링 올 리듀스(Ring All-Reduce)는 분산 딥러닝 및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에서 다수의 노드(주로 GPU)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집계하고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올 리듀스(All-Reduce) 알고리즘의 한 형태이다. ==개요== 링 올 리듀스는 모든 노드를 링(Ring) 형태로 연결하여, 각 노드가 자신의 텐서를 여러 조각(chunk)으로 분할한 뒤 인접한 노드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기울기(g...)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45  파라미터 서버‎‎ 2개 바뀜 역사 +3,469 [인공무능‎ (2×)]
     
05:45 (최신 | 이전) 0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38 (최신 | 이전) +3,469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섬네일|파라미터 서버(싱글과 멀티 서버 방식) 파라미터 서버(Parameter Server)는 대규모 분산 머신러닝에서 모델 파라미터(가중치)를 관리하고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산 시스템 구조이다. ==개요== 파라미터 서버 아키텍처는 여러 개의 워커(worker) 노드가 각자 데이터 샘플을 사용해 기울기(gradient)를 계산하고, 중앙 또는 분산된 서버(serv...)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44  올 리듀스 차이역사 +4,273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섬네일|올 리듀스 방식 작동 구조 올 리듀스(All-Reduce)는 분산 딥러닝 및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에서 여러 노드(예: GPU)가 계산한 데이터를 집계하고, 그 결과를 모든 노드에 다시 배포하는 집합 통신 연산이다. ==개요== 올 리듀스는 각 노드가 독립적으로 계산한 기울기(gradient) 또는 텐서 값을 서로 공유하고 합산 또는 평균한 뒤, 그 결과를 모든...)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13  Medusa (인공지능)‎‎ 3개 바뀜 역사 +4,146 [인공무능‎ (3×)]
     
05:13 (최신 | 이전) +1,158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05:10 (최신 | 이전) +66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5:06 (최신 | 이전) +2,922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Medusa(영어: Medusa)는 대형 언어모델(LLM) 기반 생성 모델의 추론 속도를 가속화하기 위해 제안된 프레임워크이다. ==개요== Medusa는 기존 언어모델이 토큰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생성하는 방식의 병목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기존 방식에서는 출력할 토큰 K개에 대해 모델이 K번의 연산을 실행해야 하지만, Medusa는 여러 개의 디코딩 헤드를 추가해 후속 토큰을...) 태그: 시각 편집
     05:11  추측 디코딩 차이역사 +32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