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IT 위키

해당 문서에 연결된 문서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려면 문서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분류에 들어있는 문서를 보려면 분류:분류명으로 입력하십시오). 내 주시문서 목록에 있는 문서의 변경사항은 굵게 나타납니다.

최근 바뀜 설정 최근 1 | 3 | 7 | 14 | 30일간의 50 | 100 | 250 | 500개 바뀐 문서 보기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익명 사용자를 숨기기 | 내 편집 숨기기 | 보이기 | 사소한 편집 숨기기
2025년 9월 22일 (월) 10:03부터 시작하는 새로 바뀐 문서 보기
   
문서 이름:
약어 목록:
새글
새 문서 (새 문서 목록도 보세요)
잔글
사소한 편집
봇이 수행한 편집
(±123)
바이트 수로 표현한 문서 크기의 차이

2025년 9월 17일 (수)

새글    08:35  INVEST 원칙 차이역사 +2,997 Agiler 토론 기여 (새 문서: INVEST 원칙(INVEST Principle)은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가 품질 있고 유용하게 작성되기 위한 다섯 가지 기준 혹은 체크리스트로, Agile 커뮤니티에서 널리 받아들여진다.<ref>https://agilealliance.org/glossary/invest/</ref> ==정의 및 개념== ‘INVEST’는 각 글자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약어로 다음 항목들을 의미한다: Independent(독립적), Negotiable(협상 가능), Valuable(가치 있음), Estimable(...)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33  에픽 (스크럼) 차이역사 +2,650 Agiler 토론 기여 (새 문서: 에픽(Epic)은 애자일 및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 스토리(User Stories)보다 더 크고 고수준의 작업 단위로, 하나의 스프린트만으로 완성하기에는 너무 큰 기능 또는 요구사항을 의미한다. ==정의 및 개념== 에픽은 팀 또는 고객이 추구하는 큰 목표 또는 고수준 기능을 나타내며, 여러 개의 사용자 스토리(User Stories)로 나누어져 Product Backlog에 포함된다. 에픽은 여러...)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26  벨로시티 (스크럼) 차이역사 +2,640 Agiler 토론 기여 (새 문서: 벨로시티(Velocity)는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한 스프린트 동안 스크럼 팀이 완료할 수 있는 작업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 스토리 포인트(Story Points) 단위로 측정된다. ==정의 및 개념== 벨로시티는 특정 기간(주로 한 스프린트) 내에 완료된 작업 항목들의 스토리 포인트 합으로 계산된다. 이를 통해 팀의 작업 수행 능력(work capacity)을 예측하고, 스프린트 계획 또는...) 태그: 시각 편집
새글    08:25  스토리 포인트 차이역사 +2,838 Agiler 토론 기여 (새 문서: 스토리 포인트(Story Point)는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특히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 스토리 또는 작업 항목의 상대적인 크기, 복잡성, 노력,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이다. ==정의 및 개념== 스토리 포인트는 절대적인 시간 단위가 아닌 상대적 추정 방식이다. 이를 통해 팀은 작업 항목 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할 수 있으며, 경험, 기술 수준, 도...) 태그: 시각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