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텍스트

IT 위키

하이퍼텍스트(Hypertext, 超文本文)란 전통적인 텍스트 문서와 달리, 문서 내 특정 단어, 문장, 이미지 등에 다른 문서나 정보로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여 비순차적인 탐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자 문서를 의미한다.

1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하이퍼텍스트는 사용자가 정보 간의 연관 관계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기존의 순차적인 문서 구조와는 다른 접근 방식이다. 이러한 개념은 테드 넬슨(Ted Nelson)이 1960년대에 처음 제안했으며, 이후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핵심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2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비선형 구조: 사용자가 문서를 정해진 순서 없이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다.
  • 연결성: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 상호작용성: 사용자 클릭 등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를 탐색하게 한다.
  • 유연성: 복잡한 지식 구조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3 구성 요소[편집 | 원본 편집]

  • 앵커(anchor): 다른 문서나 위치로 연결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 하이퍼링크(hyperlink): 앵커에 연결된 주소(URL)로, 클릭 시 연결된 리소스로 이동
  • 노드(node): 독립된 정보 단위(예: 웹 페이지)
  • 엣지(edge): 노드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링크

4 활용 예[편집 | 원본 편집]

  • 웹사이트: HTML 문서를 통해 페이지 간 연결을 구현
  • 위키 문서: 키워드나 주제를 통해 관련 문서로 연결
  • 전자책(전자 사전): 용어를 클릭하여 바로 설명 확인
  •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념 간 연결을 통한 학습 경로 제공

5 하이퍼미디어와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의 확장 개념으로, 텍스트 외에도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 매체 간의 연결을 지원한다. 즉, 모든 하이퍼미디어는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가지지만, 모든 하이퍼텍스트가 하이퍼미디어는 아니다.

6 관련 기술[편집 | 원본 편집]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하이퍼텍스트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 웹 브라우저: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해석하고 표시하는 도구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8 참고 문헌[편집 | 원본 편집]

  • Nelson, Ted. *Literary Machines*. Mindful Press, 1981.
  • Berners-Lee, Tim. *Weaving the Web*. HarperSanFrancisco, 1999.

9 각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