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IT 위키
이름공간
더 보기
- 더 보기
문서 행위
이 페이지에서 위키의 최근 바뀜을 추적합니다.
2025년 10월 9일 (목)
새글 06:10 | 블록 부동소수점 양자화 차이역사 +9,11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블록 부동소수점(블록 부동소수점 양자화, Block Floating‑Point Quantization)은 여러 값들을 하나의 공통 지수(exponent)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양자화 기법이다. 즉, 블록 내부의 여러 데이터(예: 동일 텐서의 일부 원소들)가 동일한 지수를 사용하고, 각 원소는 공유 지수에 대해 상대적 소수부(mantissa)만을 갖는 방식이다. ==개념 및 배경== 전통적인 IEEE 부동소수점...)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05:59 | 학습 가능한 양자화 기법 2개 바뀜 역사 +3,860 [인공무능 (2×)] | |||
|
05:59 (최신 | 이전) +524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5:50 (최신 | 이전) +3,336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 상위 문서: 신경망 양자화 * 상위 문서: 신경망 양자화 기법 '''학습 가능한 양자화(Learnable Quantization) 기법'''은 양자화의 하이퍼파라미터(예: 클리핑 한계, 구간 간격, 스케일 등)를 고정하지 않고, 학습 과정에서 함께 최적화하는 방식이다. * 이 접근법은 모델이 양자화 오차에 스스로 적응하도록 만들어 정확도 손실을 최소화한다. == PACT (Parameterized Clipping...)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1:38 | CIFAR 데이터셋 차이역사 +3,661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CIFAR 데이터셋'''은 이미지 인식 및 머신러닝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형 컬러 이미지 데이터셋이다. 대표적으로 '''CIFAR-10'''과 '''CIFAR-100'''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분류 수준을 제공한다. ==개요== CIFAR는 "Can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의 약자로, 원래는 MIT의 Tiny Images 프로젝트에서 파생된 데이터셋이다. 이 데이터셋들은 32×32 픽셀 크기의 컬러 이미지로 구성되...)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01:33 | ResNet 2개 바뀜 역사 +10,148 [인공무능 (2×)] | |||
|
01:33 (최신 | 이전) −16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1:33 (최신 | 이전) +10,16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ResNet'''(Residual Network)은 딥러닝에서 층이 매우 깊은 신경망을 안정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제안된 구조이다. ==개요== ResNet은 입력을 그대로 다음 층에 더해주는 '''스킵 연결(skip or shortcut connection)'''을 도입하여, 각 층이 원래 함수 H(x)를 직접 학습하는 대신 잔차(residual) 함수 F(x) = H(x) - x를 학습하도록 재정의한 구조이다. 이 방식은 기울기 소실(vanishing gradient) 문제...)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1:19 | Jupyter Notebook 차이역사 +3,551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Jupyter Notebook'''은 웹 기반 대화형 컴퓨팅 환경으로, 코드, 설명 텍스트, 시각화 등을 하나의 문서 내에서 통합하여 실행할 수 있게 해 준다. ==개요== Jupyter Notebook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노트북(.ipynb) 문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서버‑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다. 사용자는 코드 셀, 마크다운 셀, 수식, 그래프, 이미지 등을 조합하여 분석 흐름을 문서화할...)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1:17 | Google Colab 차이역사 +3,748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Google Colab'''(영어: Google Colaboratory)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는 클라우드 기반 노트북 환경이다. 구글이 제공하며, 별도의 로컬 설정 없이도 GPU/TPU 등의 계산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개요== Google Colab은 Jupyter Notebook 환경을 클라우드에서 호스팅한 서비스다. 사용자는 로컬에 파이썬 환경을 구축할 필요 없이, 브라...)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01:13 | 신경망 양자화 2개 바뀜 역사 +8,333 [인공무능 (2×)] | |||
|
01:13 (최신 | 이전) −15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1:11 (최신 | 이전) +8,348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모델 양자화(模型量子化, Model Quantization)는 딥러닝 모델의 수치 표현 정밀도를 낮춰 메모리 사용량과 연산량을 줄이는 최적화 기법이다. 주로 대형 언어 모델(LLM)이나 모바일·엣지 디바이스에서 효율적인 추론을 위해 사용된다. ==개요== 딥러닝 모델은 일반적으로 32비트 부동소수점(float32)으로 학습되지만, 추론 시에는 16비트(float16), 8비트(int8), 4비트(int4) 등 더 낮...) |
2025년 10월 8일 (수)
12:12 | 올리기 기록 외계인 토론 기여님이 파일:와우 시그널.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12:09 | 사용자 만들기 기록 외계인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
새글 07:54 | GitHub Actions 2개 바뀜 역사 +6,935 [Agiler (2×)] | |||
|
07:54 (최신 | 이전) +4,499 Agiler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7:29 (최신 | 이전) +2,436 Agiler 토론 기여 (새 문서: GitHub Actions는 GitHub 저장소 내에서 워크플로우(workflows)를 자동화할 수 있게 해 주는 CI/CD 및 이벤트 기반 자동화 플랫폼이다. ==개념 및 구성 요소== GitHub Actions는 저장소에 `.github/workflows/` 디렉터리에 YAML 형식의 워크플로우 정의 파일을 두고, 특정 이벤트(push, pull_request 등)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일련의 작업(job)을 실행시키는 구조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4:43 | 신경망 양자화 기법 차이역사 +3,802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 상위 문서: 신경망 양자화 양자화 기법(Quantization Techniques)은 딥러닝 모델을 경량화하고 연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분류된다. ==가중치 vs 활성화 양자화== 양자화는 대상에 따라 크게 가중치 양자화와 활성화 양자화로 나눌 수 있다. *'''가중치 양자화 (Weight Quantization)''': **모델의 학습된 파라미터(가중치)를 정수 또는...)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4:10 | 부동소수점 표현 (IEEE 754 규격) 차이역사 +5,274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부동소수점 표현이란 유한한 비트 수로 실수를 근사해서 표현하는 방식으로, IEEE 754는 현재 컴퓨터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부동소수점 연산 표준이다. ==개요== 부동소수점 표현에서는 실수 x를 다음과 같이 구성된 요소로 표현한다: *부호 비트 (sign) *지수부 (exponent) *가수부 또는 유효숫자 부분 (significand 혹은 mantissa) 이 표현은 마치 과학적 표기법(예: ±1.xxx...)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03:51 | GGUF 포맷 2개 바뀜 역사 +5,494 [인공무능 (2×)] | |||
|
03:51 (최신 | 이전) +2,707 인공무능 토론 기여 태그: 시각 편집 | ||||
새글 |
|
03:49 (최신 | 이전) +2,787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GGUF'''(Generic GPT Unified Format)은 대형 언어 모델(LLM)의 텐서와 메타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바이너리 '''모델 포맷'''으로, llama.cpp 기반의 로컬 추론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 포맷은 이전 GGML 포맷의 한계를 보완하여, 다양한 양자화 형식과 모델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요== GGUF는 General Graphical Model Library(GGML) 기반의 추론 시스템을 위해 만...) |
2025년 10월 7일 (화)
새글 08:58 | 오라클 WebLogic 차이역사 +3,967 계발자 토론 기여 (새 문서: Oracle WebLogic Server(줄여서 WebLogic)은 자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Java EE(현재 Jakarta EE)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하기 위한 플랫폼이다. 이 서버는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성능, 확장성,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 미들웨어 역할을 한다. ==역사 및 배경== WebLogic은 원래 WebLogic, Inc.에서 개발한 J2EE 애플리케이션 서버였으며, 1998년 BEA...)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8:48 | 오라클 ADF 차이역사 +5,273 계발자 토론 기여 (새 문서: 오라클 ADF(Oracle Application Development Framework)은 자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이 프레임워크는 선언적(declarative) 개발, 시각적 도구, MVC 구조, 데이터 바인딩 추상화를 결합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되었다. ==개요== Oracle ADF는 Java EE 표준과 일부 오픈 소스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엔드투엔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7:14 | 조건부 에너지 기반 모델 차이역사 +6,940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조건부 에너지 기반 모델(conditional energy-based model)은 에너지 기반 모델(Energy Based Model, EBM)의 확장 형태로, 입력이나 조건 변수(condition)에 의존하여 출력 분포을 정의하는 모델이다. 즉 일반적인 EBM이 변수 \(x\) 만을 대상으로 에너지 함수를 정의하는 반면, 조건부 EBM은 \((x, y)\) 또는 \((y \mid x)\) 형태에서 에너지를 정의하고, 주어진 조건 하에서의 확률 분포을 암묵적...)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5:29 | 미디어위키:Common.js 차이역사 +274 Itwiki 토론 기여 (새 문서: →이 자바스크립트 설정은 모든 문서,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됩니다.: window.MathJax = { tex: { inlineMath: '\\(','\\)', displayMath: [['\\[','\\]']] } }; mw.loader.load('https://cdn.jsdelivr.net/npm/mathjax@3/es5/tex-mml-chtml.js');) |
2025년 10월 6일 (월)
새글 12:09 | Adam 옵티마이저 차이역사 +5,399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Adam 옵티마이저는 "Adaptive Moment Estimation"의 약자로, 확률적 경사 하강법(SGD)에 기반하면서 각 파라미터마다 적응적으로 학습률을 조절하는 딥러닝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개요== Adam은 2014년 Diederik P. Kingma와 Jimmy Ba가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모멘텀(Momentum) 기법과 RMSProp 알고리즘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다. 기울기의 1차 모멘트(평균)와 2차 모멘트(분산)를 추정하여 파...)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12:05 | AdamW 옵티마이저 차이역사 +3,711 인공무능 토론 기여 (새 문서: AdamW 옵티마이저는 Adam 최적화 알고리즘의 변형으로, 가중치 감쇠(weight decay)를 그래디언트 업데이트로부터 분리(decouple)하여 일반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개요== 딥러닝에서 자주 사용되는 Adam(Adaptive Moment Estimation) 옵티마이저는 1차 및 2차 모멘트를 활용하여 각 파라미터별로 적응적인 학습률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정규화를 위해 L2 정규화 항을 손실 함...)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10월 4일 (토)
새글 06:26 | 단위 행렬 차이역사 +2,057 파이러너 토론 기여 (새 문서: 단위 행렬(영어: identity matrix, 일명 단위원행렬)은 정사각 행렬 중 대각 성분이 모두 1이고 나머지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이다. ==정의== 단위 행렬은 n×n 크기의 행렬로, 대각선 성분은 모두 1이고 그 외 성분은 모두 0으로 정의된다. ==기호와 표기== *보통 I 또는 Iₙ으로 표기하며, 문맥상 크기가 명확하면 단순히 I로 쓰기도 한다. <ref>“Identity matrix”, Encyclopedia of Mathemati...)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6:20 | PyTorch eye 차이역사 +3,622 파이러너 토론 기여 (새 문서: torch.eye(영어: eye)은 주대각선이 1이고 나머지가 0인 2차원 텐서(단위 행렬)를 생성하는 PyTorch의 함수이다. ==개요== *<code>torch.eye</code>는 크기 <code>n×m</code>(<code>m</code> 미지정 시 <code>n×n</code>)의 단위 행렬을 반환한다. *반환 텐서는 기본적으로 밀집(dense) 레이아웃이며, 주대각선 원소는 1, 그 외는 0이다. ==시그니처== *<code>torch.eye(n, m=None, *, out=None, dtype=None, layout=torch.st...) 태그: 시각 편집 |
새글 06:14 | PyTorch sparse 차이역사 +5,348 파이러너 토론 기여 (새 문서: '''torch.sparse'''은 PyTorch에서 희소 텐서(sparse tensor)를 다루기 위한 기능 집합이다. ==개요== 희소 텐서는 대부분의 원소가 0인 고차원 배열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PyTorch에서는 여러 희소 표현(layout) 방식을 지원하며, <code>torch.sparse</code> 모듈 및 관련 함수들이 이 기능을 제공한다. ==표현 방식 및 레이아웃== PyTorch는 여러 희소 레이아웃을 지원한다....) 태그: 시각 편집 |
05:53 | 사용자 만들기 기록 파이러너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원본 주소 "https://itwiki.kr/w/특수:최근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