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M
IT 위키
- Critical Chain Method
- 자원 가용성을 고려하여 일정의 변경을 예상하고, 이를 토대로 활동 사이에 의존 관계 및 수행기간을 결정하는 방법
1 CCM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과다하게 설정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줄여 통합된 버퍼로 책정하고 버퍼의 소진율을 모니터링하여 전체 프로젝트를 관리
- CPM을 통한 네트워크 및 일정 산출방식은 동일하지만 각 활동의 여유시간을 떼 내어 필요 시 여유시간을 적절히 공급하는 방식
2 CPM과의 비교[편집 | 원본 편집]
2.1 CPM의 납기 지연[편집 | 원본 편집]
3 버퍼[편집 | 원본 편집]
3.1 버퍼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버퍼 | 설명 |
---|---|
프로젝트 버퍼
(Project Buffer) |
|
피딩 버퍼
(Feeding Buffer) |
|
자원 버퍼
(Resource Buffer) |
|
3.2 버퍼 관리[편집 | 원본 편집]
- 안전 영역
- 모니터링 영역
- 행동 영역
4 절차[편집 | 원본 편집]
절차 | 설명 |
---|---|
활동계획 |
|
활동기간 추정 |
|
Critical Chain 결정 |
|
기간 버퍼 추가 |
|
일정 수립 |
|
버퍼 영역 분할 |
|
프로젝트 일정 관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