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IT 위키
IT 위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5월 8일 (목) 07:2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오각형 삼각 분할.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8일 (목) 07:2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오각형 삼각 분할.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8일 (목) 07:19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다각형의 삼각 분할.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5월 8일 (목) 07:19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다각형의 삼각 분할.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5월 3일 (토) 08:5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한체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한체'''(有限體, finite field)는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체(field)이다. 모든 체 중에서 유한한 크기를 가진 특별한 경우로, ''갈루아 체''(Galois Field)라고도 불리며, GF(q)로 표기된다. 여기서 q는 체의 원소 개수를 나타낸다. ==정의== 유한체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다. *유한한 개수의 원소를 가진다. (즉, 집합의 크기가 유한하다.) *체의 정의를 만족한다: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8:51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대수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수'''(代數, algebra)는 수와 기호를 이용하여 수학적인 구조, 관계, 연산을 표현하고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초등 수준의 문자 대수에서부터, 집합과 연산을 기반으로 한 추상대수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개요== 대수는 수학적 대상을 기호로 표현하고, 그 연산 규칙을 정의함으로써 일반적인 수학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방법론이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8:5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군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군'''(群, group)은 하나의 이항 연산이 정의된 집합으로, 그 연산이 일정한 성질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다.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추상대수학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이다. ==정의== 집합 G와 이항 연산 * 가 다음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G, *)를 '''군(group)'''이라고 한다. ===1. 닫힘성=== *모든 a, b ∈ G에 대해 a * b ∈ G ===2. 결합법칙=== *(a * b) * c = a * (b *...)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8:49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체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체'''(體, field)는 덧셈과 곱셈 두 연산이 정의되어 있으며, 이 연산들에 대해 대부분의 대수적 성질이 성립하는 대수 구조이다. 체는 실수, 유리수, 복소수 등의 수 체계를 추상화한 개념으로, 대수학, 수론,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정의== 집합 F에 대해 덧셈(+)과 곱셈(*) 두 연산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F, +, *)는 체(field)라 한다. ===1. (F...)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8:48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환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환'''(環, ring)은 두 개의 이항 연산(덧셈과 곱셈)이 정의되어 있는 대수 구조로, 정수의 성질을 일반화한 개념이다. 환은 군, 체 등의 개념과 함께 추상대수학에서 기본적인 구조로 다루어진다. ==정의== 집합 R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R, +, *)는 환(ring)이라고 한다. ===1. (R, +)는 아벨 군=== *덧셈 + 에 대해 닫힘성,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0이라는 항등원이 존재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0:2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니온 파인드 경로 분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경로 분할(Union-Find with Path Splitting)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Find 연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경로 압축 기법 중 하나로, 루트 노드를 찾는 동안 경로 상의 각 노드를 그 부모의 부모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개요== 경로 분할(path splitting)은 유니온 파인드에서 트리의 깊이를 줄이고 Find 연산을 빠르게 만들기 위한 최적화 기법이다. 경로 압축(path compress...)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0:0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니온 파인드 크기 기반 병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크기 기반 병합(Union-Find with Union by Size)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두 집합을 병합할 때 각 집합의 원소 수를 기준으로 병합 방향을 결정하여 트리의 깊이를 최소화하는 최적화 기법이다. ==개요== 크기 기반 병합은 유니온 파인드(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에서 병합 연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각 집합의 트리 구조가 지나치게 비대해지는...)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3일 (토) 00:0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니온 파인드 경로 압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경로 압축(Union-Find with Path Compression)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Find 연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로상의 노드들을 직접 루트 노드에 연결하는 최적화 기법이다. ==개요== 경로 압축은 유니온 파인드 자료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최적화 기법 중 하나로, Find 연산을 수행할 때 탐색 경로에 있는 모든 노드를 해당 집합의 루트 노드에 직접 연결함으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2일 (금) 23:3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니온 파인드 랭크 기반 병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 랭크 기반 병합(Union-Find with Union by Rank)은 병합-찾기 자료구조에서 두 집합을 병합할 때 트리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는 기법이다. ==개요== 랭크 기반 병합은 유니온 파인드(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의 핵심 최적화 기법 중 하나로, 집합 병합 시 트리 구조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집합은 트리 형태로 표현되며, 트리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일 (목) 12:5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니온 파인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니온 파인드(Union-Find, 병합-찾기 자료구조)는 상호 배타적 집합(disjoint-set)들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조작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개요== 유니온 파인드는 원소들이 어떤 집합에 속해 있는지를 빠르게 판별하고, 두 집합을 병합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데 최적화된 자료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상호 배타적 집합 자료구조(disjoint-set data structure)로 불리며, 대표적으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5월 1일 (목) 12:1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에츠허르 다익스트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르허츠 다익스트라(Edsger Wybe Dijkstra, 荷兰语: Edsger Wybe Dijkstra)는 컴퓨터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네덜란드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생애== 에르허츠 다익스트라는 1930년 5월 11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태어났다. 라이덴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였다. 1959년 네덜란드 에인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30일 (수) 23:18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곱셈 역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곱셈 역원'''(乘法逆元, multiplicative inverse)은 어떤 수에 대해 곱했을 때 1이 되는 수를 말한다. 주로 모듈로 연산(modular arithmetic)에서 사용되며, 나눗셈을 곱셈으로 바꾸기 위해 활용된다. ==개요== 정수 a에 대해 어떤 수 x가 존재해서 다음을 만족하면, x는 a의 곱셈 역원이다. a * x ≡ 1 (mod m) 여기서 ≡ 기호는 "동치(congruence)"를 의미하며, a * x를 m으로 나눈 나머지가 1...)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8일 (월) 08:5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방향 비순환 그래프.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28일 (월) 08:5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방향 비순환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28일 (월) 03:1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우선순위 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는 일반적인 큐와 달리, 삽입된 요소 중 우선순위(priority)가 가장 높은 요소를 먼저 꺼내는 자료 구조이다. 기본적인 큐의 선입선출(FIFO) 원칙을 따르지 않고,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한다. ==개요== 우선순위 큐는 각 요소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데이터가 삽입된 순서와 무관하게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처리되도록 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8일 (월) 03:09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큐 (자료 구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큐'''(queue)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 자료 구조이다. 큐에서는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된다. ==개요== 큐는 한쪽 끝에서는 데이터를 삽입(Enqueue)하고, 다른 한쪽 끝에서는 데이터를 삭제(Dequeue)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처럼 입출력 방향이 분리되어 있어, 데이터가 들어간 순서대로 처리되어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8일 (월) 02:5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방향 그래프.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28일 (월) 02:5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방향 그래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26일 (토) 06:4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맨해튼 거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맨해튼 거리 (수학)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44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클리드 거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歐幾里得距離)는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정의되는 두 점 사이의 최단 직선 거리를 의미한다. ==개요== 유클리드 거리는 고대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Euclid)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는 가장 직관적인 거리 개념으로, 2차원이나 3차원 공간뿐만 아니라 n차원 공간에서도 일반화할 수 있다. 주로 물리적 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직접적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4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맨해튼 거리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맨해튼 거리(Manhattan distance, 曼哈頓距離)는 격자 기반 공간에서 두 점 간의 최단 경로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개요== 맨해튼 거리는 두 점 사이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도달할 때의 총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이름은 미국 뉴욕시의 맨해튼 지구의 격자형 도로망을 연상시켜 붙여졌다. 이 거리 척도는 특히 격자 기반 환경에서 경로 탐색, 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38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A*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 알고리즘(A* algorithm)은 그래프 탐색과 경로 탐색에 사용되는 휴리스틱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개요== A* 알고리즘은 1968년 피터 하트(Peter Hart), 넬슨 나일스(Nils Nilsson), 버트 라파엘(Bertram Raphael)이 개발하였다. 최단 경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유사하지만, 휴리스틱 함수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더 빠르게 목표 지점에 도달할...)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3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벨만포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벨만-포드 알고리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3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BF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너비 우선 탐색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3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DF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깊이 우선 탐색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31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피보나치 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보나치 힙(Fibonacci heap)은 우선순위 큐를 구현하는 자료구조의 하나로, 삽입과 키 감소 연산이 매우 빠른 것이 특징이다. ==개요== 섬네일|피보나치 힙 구조 피보나치 힙은 1984년 마이클 프레드먼(Michael Fredman)과 로버트 타잔(Robert Tarjan)이 제안한 자료구조로, 이론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삽입, 최소값 찾기, 키 감소...)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6:2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피보나치 힙 예시.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26일 (토) 06:27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파일:피보나치 힙 예시.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26일 (토) 05:0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모듈로 역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듈러 역원(Modular Inverse, 模組逆元)은 정수 a와 양의 정수 m에 대해 ax ≡ 1 (mod m)를 만족하는 정수 x를 의미한다. ==개요== 모듈러 역원은 모듈로 연산 체계에서 나눗셈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 정수 a가 모듈러 m에 대해 역원을 가지기 위해서는 a와 m이 서로소, 즉 gcd(a, m) = 1이어야 한다. 모듈러 역원은 암호학, 수론, 알고리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5:0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Extended Euclidean Algorithm, 拡張幾何算法)은 두 개의 정수 a, b에 대해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와 함께 정수 계수 x, y를 찾아 ax + by = gcd(a, b)를 만족하는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개요==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기본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변형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과정 중 각 단계에서 선형 결합의 계수를 추적함으로써 최종...)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6일 (토) 04:24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유클리드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클리드 알고리즘(Euclidean Algorithm, 幾何算法)은 두 개의 자연수 또는 정수의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를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한 고전적인 알고리즘이다. ==개요==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Euclid)가 그의 저서 『원론(Elements)』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두 수를 서로 나누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식이다. 이 알고...)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5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대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수학(Algebra, 代數學)은 수, 변수, 연산, 구조 간의 관계를 일반적인 규칙과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개요== 대수학은 산술에서 발전한 수학 분야로, 수뿐만 아니라 미지수와 수식 간의 관계를 기호로 나타내고 이들 사이의 연산을 일반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대에는 주로 방정식의 해법으로 시작되었으나, 현대에는 집합, 함...)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54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삼각 함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삼각 함수(Trigonometric functions, 三角函數)는 각도의 크기와 직각삼각형의 변 사이의 비율 또는 단위원 위의 좌표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함수로, 주기성과 주기함수의 성질을 갖는다. ==개요== 삼각 함수는 기하학, 해석학, 공학, 물리학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본 함수 집합이다. 원래는 직각삼각형의 변의 길이 비로 정의되었으며, 이후 단위원을 이용하여 모든...)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5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구의 부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구의 부피(Volume of a sphere, 球의 體積)는 3차원 공간에서 반지름이 r인 구가 차지하는 입체적 공간의 크기를 의미하며, 원주율 π를 포함하는 수학적 공식을 통해 계산된다. ==개요== 구는 공간상에서 한 점(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점들로 이루어진 입체 도형이다. 구의 부피는 그 도형이 차지하는 3차원 공간의 양을 의미하며, 반지름이 클수록 부피도 비례하...)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5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원의 넓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의 넓이(Area of a circle, 圓의 넓이)는 평면상에서 반지름이 r인 원이 차지하는 면적을 의미하며, 수학적으로는 원주율 π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개요== 원의 넓이는 기하학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등장하는 면적 계산 중 하나이다. 원은 일정한 반지름을 중심으로 하는 곡선으로 둘러싸인 닫힌 도형이며, 그 안의 모든 점들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5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원주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주율(圓周率, Pi)은 원의 지름에 대한 원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로, 보통 그리스 문자 π로 표기된다. ==개요== 원주율은 기하학에서 원의 기본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상수로,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의 둘레를 지름으로 나눈 값이다. 이는 어떤 크기의 원이든 동일하며, 약 3.14159로 시작하는 무리수이자 초월수이다. 원주율은 고대부터 널리 연구되어 왔으...)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3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플로이드 워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3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닫힘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닫힘(closure, 閉合)은 어떤 연산에 대해 집합의 원소들끼리 연산을 수행했을 때, 그 결과가 항상 같은 집합에 속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정의== 수학에서 집합 S와 이항 연산 *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a, b ∈ S에 대해 a * b 또한 S에 속하면, 집합 S는 연산 *에 대해 닫혀 있다고 한다. 이 성질을 닫힘 성질(closure property)이라 한다. ==예시== *정수의 덧셈: 정수 집합 ℤ는 덧셈...)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32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순환 구조 (수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순환 구조(cyclic structure, 巡環構造)는 하나의 원소를 반복적인 연산을 통해 생성함으로써 전체 구조가 생성되는 대수적 구조(algebraic structure)를 의미한다. ==정의== 군 이론(group theory)에서, 군(group) G의 원소 g가 존재하여 G의 모든 원소가 g의 거듭제곱 혹은 반복 연산으로 표현될 수 있다면, G는 순환군(cyclic group)이라 불리며, 이러한 구조를 순환 구조라고 한다. 이때 g...)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30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항등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등원(identity element, 恒等元)은 어떤 이항 연산에 대해 임의의 원소와 연산을 하였을 때 그 원소 자체를 반환하는 특별한 원소이다. ==정의== 집합 G와 그 위의 이항 연산 *가 주어졌을 때, 원소 e ∈ G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e를 항등원이라 한다. *임의의 a ∈ G에 대해, e * a = a이고 a * e = a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원소는 존재한다면 유일하다. 항등원은 연산에 따라 다...)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7:29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역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역원(inverse element, 逆元)은 어떤 이항 연산에 대해 항등원을 기준으로 연산의 결과가 항등원이 되도록 하는 원소를 의미한다. ==정의== 집합 G와 그 위의 이항 연산 *가 주어졌을 때, 항등원 e에 대해 원소 a ∈ G가 존재하면, a의 역원 a⁻¹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G의 원소이다. *a * a⁻¹ = e *a⁻¹ * a = e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a⁻¹이 존재할 경우, a는 가역원이라 하며,...)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6:33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벨만-포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벨만-포드 알고리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6:31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최소 비용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소 비용 알고리즘(Minimum cost algorithm, 最小費用算法)은 주어진 조건하에서 전체 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 경로, 흐름, 또는 네트워크 구조를 찾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개요== 최소 비용 알고리즘은 그래프 이론, 네트워크 최적화, 물류 계획, 공급망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 알고리즘들은 주어진 그래프에서 비용 함수에 따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6:26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논리 기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리 기호(Logical symbols, 論理記號)는 수학적 논리 및 형식 논증에서 명제를 표현하고 추론 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들의 모음이다. ==개요== 논리 기호는 수리 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철학 등의 분야에서 명제를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들 기호는 주로 명제의 연결, 부정, 조건, 동치, 존재성 등을 나타내며, 공리계나 형식 언...)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6:25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수학 기호 목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학 기호 목록(Mathematical symbols list, 數學記號目錄)은 수학 전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호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연산자, 집합, 논리, 함수, 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기호들을 포함한다. ==개요== 수학 기호는 개념, 관계, 연산 등을 기호화하여 간결하고 명확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호는 수학의 언어로서 수식과 논증을 구성하는 데 필...) 태그: 시각 편집
- 2025년 4월 24일 (목) 06:24 AlanTuring 토론 기여님이 수학적 로마자 표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학적 로마자 표현(Mathematical Romanization, 數學的羅馬字表現)은 수학에서 그리스 문자와 기호들을 로마자로 표기하거나 구두로 읽는 방식을 의미하며, 알고리즘 이론, 수학 논문,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개요== 수학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호, 특히 그리스 문자들은 공통적으로 정의된 로마자 표현을 통해 서술되거나 구두로 읽혀진다. 이...) 태그: 시각 편집